매일신문

'부실대출' 터진 대구 새마을금고… 경영평가서 6곳 '5등급'

경영실태평가 결과 대구 새마을금고 6곳 '종합 5등급'
29개 금고 연체율 전국 평균 상회, 40% 이상도 2곳
정부 합동감사 착수, 중앙회 "7월부터 부실채권 정리"

대구 새마을금고. 매일신문DB
대구 새마을금고. 매일신문DB

지난해 대구지역 새마을금고의 경영지표가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여러 금고에서 연이어 불거진 '부실대출' 영향이 적잖은 것으로 보인다. 금고 건전성을 강화하고 경영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여신심사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10일 새마을금고 경영공시를 분석한 결과, 대구지역 금고 95곳 중 6곳이 지난해 12월 경영실태평가에서 종합 5등급을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4등급을 받은 금고는 10곳이었다.

경영실태평가 등급은 1등급(우수), 2등급(양호), 3등급(보통), 4등급(취약), 5등급(위험)으로 나뉜다. 새마을금고중앙회(이하 중앙회)는 새마을금고법에 따라 금고 경영상태를 평가하고 종합 등급이 4~5등급인 금고에 경영개선 조치를 요구할 수 있다.

부동산 경기회복 지연 등으로 부실채권이 불어나면서 경영지표가 악화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지역금고는 당기순손실 2천452억원을 기록하며 적자 전환했다. 대출 연체율이 전국 평균(6.81%)을 상회한 지역금고는 29곳에 달했다. 이 중 연체율이 10% 이상인 금고는 17곳, 20% 이상인 금고는 3곳으로 조사됐다.

'무담보 대출'로 문제가 된 일부 금고가 전체 연체율을 끌어올렸다. 중앙회는 지난해 4월 지역금고 4곳에서 부실대출 정황을 포착하고, 이들 금고와 대출을 받은 건설업체 관계자를 검찰에 고발한 바 있다. 위험성이 높은 부동산 대출 비중이 비교적 높은 금고 특성상 건전성 관리를 위해선 여신심사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행정안전부는 금융감독원·예금보험공사와 지난 1일 금고 건전성 개선을 목표로 합동감사에 착수했다. ▷대출심사 절차 준수 여부 ▷채권 보전조치 실시 여부 ▷기업대출 사후 점검 매뉴얼 준수 여부 등을 들여다본다는 방침이다.

중앙회는 부실 우려 금고를 중심으로 합병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중앙회 관계자는 "자산관리 전문 자회사인 '새마을금고 자산관리회사' 업무 개시를 준비하고 있다. 오는 7월부터 자회사를 통해 부실채권을 정리하는 데 주력하고 금고 건전성을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