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일어나 사과하라" 요구에 버틴 김문수…"갑질이고 폭력"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이 지난해 12월 11일 긴급현안질문에서 더불어민주당 서영교 의원의 사과요구를 거부한 채 다른 국무위원들과 달리 자리에 앉아 있다. 연합뉴스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이 지난해 12월 11일 긴급현안질문에서 더불어민주당 서영교 의원의 사과요구를 거부한 채 다른 국무위원들과 달리 자리에 앉아 있다. 연합뉴스

12·3 비상계엄 사태 후 국회 현안 질의에서 서영교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국무위원 전원 사과 요구를 끝까지 받아들이지 않았던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이 "국무위원들도 인격이 있는데 아무리 국회지만 국회의원의 갑질이 도를 넘었고, 일종의 폭력"이라고 말했다.

11일 김 전 장관은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제가 국회의원을 세 번했다. 국회의원이 국무위원을 발언대에 불러내 요구할 수 있다"며 "그러나 좌석에 앉혀놓고 고함 지르고 '다 일어서서 사죄하라'하면 유치원생도 안 한다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지난해 12월 11일 국회의 긴급 현안질의에서 국무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서 의원이 비상계엄령 선포를 막지 못했다며 국무위원들이 자리에서 일어나 사과하라고 요구했다. 대부분 국무위원들이 허리를 굽혀 사과했지만 김 전 장관은 끝까지 자리에서 일어나지 않았다.

김 전 장관은 '12·3 계엄은 잘못됐다고 생각하나' 질문에 "찬성한 적 없다. 국무회의에 출석했다면 반대했을 것"이라고 답했다. 탄핵 절차에 대해서도 "과연 탄핵 방법밖에 없었나"라며 "항상 대화가 제일 중요하고, 절차적으로 맞는 방식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에 대해 "과연 탄핵 방법밖에 없었느냐. 다른 좋은 방법으로 우리 대한민국 헌정이 잘 발전해 나가기를 바라는데 이 탄핵은 불가피할 경우에 정말 국민들이 상당한 정도로 냉정하게 따져보고 해야지, 막 탄핵한다고 잘 됐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한편 윤 전 대통령이 나경원 의원에게 출마를 권유했다는 내용과 관련해서는 "저는 윤 대통령 뜻으로 출마한 건 아니다. 나 의원이 또 꼭 윤심으로 출마했다 이렇게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다.

최근 당 일각에서 나오고 있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의 출마설과 관련해서는 "제가 아는 한 권한대행님은 아주 훌륭한 공무원이다. 공직자의 모범이고"라며 "매우 훌륭한 리더십을 갖추고 계신 분인데 정치하고는 상당히 거리가 멀고 정치의 꿈을 꾸시는 것은 한 번도 제가 잠꼬대도 들어본 적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