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비명(비이재명)계가 대선경선 규칙 논의 과정에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다며 반발하고 나섰다.
민주당은 현재 일반국민 투표만 100% 반영하는 '완전국민경선'(오픈 프라이머리) 방식과 국민 여론조사 50%·권리당원 투표 50%로 후보를 선출하는 '국민참여경선' 형식을 두고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비명계는 '오픈 프라이머리'를 적용하자는 입장이지만, 이같은 주장이 제대로 수렴되지 않고 '국민참여경선'에 무게가 쏠리고 있다고 주장한다.
김동연 경기지사 경선 캠프 대리인인 고영인 전 민주당 의원은 이날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대선특별당규준비위의 논의가 심각히 우려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며 "국민선거인단을 없애는 방향이라는 여러 제보가 들어오고 있다"고 밝혔다.
고 전 의원은 "시간이 촉박할수록 원칙과 상식을 지키는 게 국민과 당원의 마음을 모으는 길"이라며 "기존 당규대로 하면 된다"고 말했다.
대선 출마를 선언한 김두관 전 의원 측도 전날 '완전개방형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주장했다. 김 전 의원 캠프 백왕순 대변인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18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주민등록증을 갖고 현장에 참여해 투표하는 방식"이라며 "비용이 많이 든다고 하지만, 국민이 참여하는 후보 선출과 압도적인 대선 승리를 위해 당비를 사용하면 충분하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백 대변인은 "경선 룰 확정은 후보자 간 합의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며 "후보가 지정한 책임자 간의 합의 과정 없이 당이 일방적으로 경선 룰을 정하면 민주적 절차와 과정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민주당 지도부가 후보자들의 의견을 일절 듣지 않고 계속 불통한다면, '어대명 추대 경선'의 들러리로 나서는 것에 대해 깊이 고민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한편 이재명 전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을 만나 '경선 룰에 대한 입장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이 나오자 "제가 선수인데 심판의 규칙에 대해 뭐라고 말하겠나"라며 "국민과 당원의 뜻에 따른 어떤 결정도 다 수용하겠다"고 답했다.
이춘석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장은 전날 "지금까지의 대선 방식은 국민경선 방식이었고 당원들의 요구는 국민참여경선인데 양쪽이 다 장단점이 있다"며 "어느 쪽이 절대적으로 맞다고 동의할 수 없기 때문에 적절한 조화점에 대한 고민이 가장 많았고, 집중적으로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정치 보복' 않겠다는 이재명…"제 인생에 보복한 적 없어"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
헌재재판관 지명 위헌 논란…한덕수 대행 역풍 맞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