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에어로) 유상증자(유증)에 대한 논란이 연이어 터지고 있다.
당초 한화에어로는 미래 성장동력 확보라는 명목으로 3조6천억원의 유증을 결정했지만, 일반 주주들의 반발과 금융당국의 지적에 발목이 잡혀 그 규모를 축소하게 됐다.
하지만 유증 규모를 축소했음에도 진정성을 둘러싼 잡음은 쉽사리 가라앉지 않고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 국회의원 22명은 오는 14일 국회에서 토론회를 개최해 승계는 물론, 한화에어로 유상증자와 계열사 부당지원 등의 문제를 분석한다는 계획이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한국거래소로부터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될 위기에 처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는 한화에어로에 대한 불성실공시법인지정예고 보고서가 게재됐다. 불성실공시 내용은 '유상증자결정 내용 중 발행주식수 및 발행금액의 20% 이상 변경'이다.
불성실공시 보고서가 나오기 전인 지난 8일 한화그룹은 한화에어로의 주주배정 유상증자 규모를 기존 3조6천억원에서 2조3천억원으로 줄이겠다고 했다. 또 차액인 1조3천억원은 한화에너지·한화임팩트파트너스·한화에너지싱가폴 등 3개사가 참여하는 제3자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했다.
결국 논란으로 인해 유증 규모를 줄이면서 불성실공시법인에 지정될 상황에 빠진 것이다.
한화에어로는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여부는 유가증권시장 상장공시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된다. 심의에서는 부과벌점 및 공시위반제재금의 부과 여부도 결정되는데, 부과 벌점이 10점 이상이 되면 지정 당일 동안 매매 거래가 정지된다.
한화에어로가 유증 규모를 줄인 가장 큰 이유는 주주들의 반발과 금융당국의 제동이다.
한화에어로가 유증 계획 했을 다시 주주들 사이에서는 비판의 목소리가 거셌다. 주주들은 미래 동력 확보를 위한 자금은 회사채 발행으로도 충분하고, 수주 실적도 좋은 상황인데 왜 유증이 필요한지 모르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실제 한화에어로는 지난해 호실적을 거뒀다. 지난해 말 기준 수주 잔액만 103조원에 달한다. 매출액 역시 11조2천462억원에 영업이익 1조7천247억원을 기록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증권업계에서도 지적이 제기됐다. 정동익 KB증권 연구원은 "매년 영업활동을 통해 창출되는 현금흐름만으로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투자 자금임에도 대규모 유증을 선택한 것은 기존 주주들 입장에서 아쉬운 대목"이라고 꼬집었다.
금융감독원은 한화에어로 유증 증권신고서에 대해 끝까지 정정 요구를 하겠다는 계획이다.
지난 3월 27일 금감원은 공지를 통해 한화에어로의 유증 증권신고서 심사 결과를 밝혔다. 당초 증권신고서가 빠르게 처리될 것으로 전망됐다. 하지만 금감원은 ▷유상증자 당위성 ▷주주소통 절차 ▷자금사용 목적 등에서 투자자의 합리적 투자판단에 필요한 정보 기재 미흡을 이유로 한화에어로에 증권신고서 정정을 요구했다.
특히 금감원은 "향후 한화에어로가 정정신고서 제출 시 정정요구 사항이 충실히 반영됐는지 면밀히 심사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더 강경한 발언을 쏟아냈다. 한화에어로 유증을 두고 "지난해 두산로보틱스 합병 때와 기준이 같다"며 "부족함이 있다면 횟수에 구애받지 않고 신고서 정정 요구를 하겠다"고 했다.
지난해 7월 두산은 두산밥캣을 두산에너빌리티에서 분리해 두산로보틱스의 100% 자회사로 편입하는 지배구조 개편안을 발표했다. 이후 해당 개편안을 위한 증권신고서를 금감원에 제출했는데, 금감원은 주주 피해 우려 등을 이유로 제동을 걸었고 결국 개편이 무산된 바 있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유증을 승계 문제와 엮어 자세히 들여다 본다는 방침이다. 민주당 등 야당(김성환·박주민·유동수·김승원·민병덕·박상혁·오기형·이소영·이정문·김남근·김남희·김영환·김현정·박균택·박홍배·신장식·이강일·이성윤·이용우·정준호·차규근·한창민)은 오는 14일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10간담회의실에서 '한화 경영권 3세 승계 이대로 괜찮은가?' 토론회를 개최한다.
토론회를 공동 주최하는 민주당 의원실 관계자는 통화에서 '이번 토론회에서 유증 문제도 다뤄지냐'는 질문에 "토론회 부제가 '한화에어로 유상증자와 계열사 부당지원 등의 문제 분석'이다"라고 답했다.
한편, 재계 관계자는 "주주들의 피해 논란부터 유증의 목적, 유증 대금 출처가 불투명한 점 등 논란이 많다"며 "정치권과 금융당국이 세세하게 들여다 보는 상황이 어쩌면 당연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임기 못 마치고 떠나 시민께 송구…대선 승리해 금의환향하겠다"
박은정, 315일 전 尹에게 받은 난 키워 '파면 축하 난'으로 선물
홍준표, 시장직 사임 "尹 억울함 풀 것, 임기 못마쳐 죄송"
한동훈, 출마 선언…이재명 겨냥 "괴물정권 탄생 막아야"
尹 만난 이철우 "주변 배신에 상처받아…충성심 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