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미국과 중국이 본격적인 무역 전쟁을 벌일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중국이 12일부터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을 기존 84%에서 125%로 높이기로 했다. 다만, 중국은 "미국이 향후 관세를 추가로 인상하더라도 무시할 것"이라며 더 이상의 보복 인상은 없을 것임을 시사했다.
11일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12일부터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 인상 조치가 조정된다"며 이 같이 공고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중국 관세를 총 145%로 인상한 데 따른 조치다.
관세위는 "미국이 중국에 대해 과도한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국제 경제 무역 규칙을 심각하게 위반하는 것이자 기본적 경제규칙과 상식에 어긋나는 것으로, 완전히 일방적인 괴롭힘과 강압적 행동"이라고 비판했다.
관세위는 그러면서도 "미국의 대중국 수출 상품이 현재 관세 수준에서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미국이 중국산 수출 상품에 계속해서 관세를 인상해도 중국은 이를 무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10일 행정명령을 통해 중국의 상호관세율을 125%로 인상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다음날 미국 CNBC방송은 백악관으로부터 대중국 관세율이 총 145%라고 확인 받았다고 보도했다. 중국의 펜타닐 대응을 문제 삼아 지난 2, 3월 10%씩 부과한 20%에 상호관세 125%를 더한 수치다.
지난해 두 나라 간의 상품 교역 규모는 약 5천850달러(약 866조원)에 이른다. 세부적으로 보면 미국의 대중 수입액(4천400억달러)이 중국의 대미 수입액(1천450억달러)보다 훨씬 크다.
이로 인해 2024년 미국은 중국과의 무역에서 2천950억달러의 적자를 기록했는데 이는 미국 경제의 약 1%에 해당하는 상당한 규모의 무역 적자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외 상호관세 대상국들에 대한 '90일 유예기간'의 연장 가능성에 대해 "그때 어떤 일이 일어날지 지켜봐야 한다"면서도 기한 내에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애초 책정된 상호관세율이 적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을 향해서는 "양국 모두에게 매우 좋은 결과로 끝날 것으로 생각한다"며 협상 의지를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정치 보복' 않겠다는 이재명…"제 인생에 보복한 적 없어"
한동훈, '한덕수 추대론'에 견제구…"출마 부추기는 건 해당 행위"
국민의힘 "주 4.5일 근무 대선 공약 반영하겠다"
김수현, 악플러들 고소했다…"앞으로도 법적 조치 할 것"
이준석 "대구경북서도 호랑이 될 만한 사람 키워야…尹에게 누가 직언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