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관세정책 후폭풍으로 뉴욕증시가 역사적 '롤러코스터 장세' 보인 가운데 11일(현지시간) 강세로 주간 거래를 마무리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19.05포인트(1.56%) 오른 40,212.71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95.31포인트(1.81%) 오른 5,363.36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337.14포인트(2.06%) 오른 16,724.46에 각각 마감했다.
뉴욕증시가 상승세를 탄 건 미국과 중국이 관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 때문이다. 이날 백악관은 "양국이 대화로 문제를 해결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히며 협상 가능성을 열어뒀다. 중국은 전날 미국이 관세를 인상한 데 따른 보복으로 관세를 기존 84%에서 125%로 인상했다. 다만 미국이 또다시 관세를 올릴 경우, 이를 무시하겠다고 예고했다
이날 S&P500 지수 11개 업종은 모두 상승했다. 소재(2.99%) 섹터가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보인 가운데 정보기술(2.56%), 에너지(2.50%), 산업(1.73%), 금융(1.67%) 등의 업종이 동반 상승했다.
종목별로 보면 기술주들이 일제히 랠리에 성공했다. 시총 1위 애플은 전일 대비 7.73달러(4.06%) 급등한 198.15달러에, 인공지능(AI) 칩 대장주 엔비디아도 3.36달러(3.12%) 뛴 110.93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또 알파벳(2.83%), 아마존(2.01%), 마이크로소프트(1.86%) 등도 함께 올랐다.
이날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서 변동성지수(VIX)는 전장보다 3.16포인트(-7.76%) 급락한 37.56을 기록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전장 대비 97.61포인트(2.51%) 오른 3990.90을 나타냈다.
한편 관세 정책 불확실성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가운데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상황이 한동안 지속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내다본다.
AXS인베스트먼트의 그레그 배서크 최고경영자(CEO)는 "시장을 괴롭히는 불확실성이 잦아들 수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를 찾으면서 투자자들은 줄다리기의 한가운데에 서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임기 못 마치고 떠나 시민께 송구…대선 승리해 금의환향하겠다"
박은정, 315일 전 尹에게 받은 난 키워 '파면 축하 난'으로 선물
한동훈, 출마 선언…이재명 겨냥 "괴물정권 탄생 막아야"
홍준표, 시장직 사임 "尹 억울함 풀 것, 임기 못마쳐 죄송"
이재명, 대선 출마 공식 선언…"따뜻한 봄날 만들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