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스마트폰을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12일(현지시간) 제외하면서 IT업계가 안도하는 분위기다. 다만, 미중 무역분쟁 여파로 생산 공급망을 두고 불확실성이 여전히 큰 상황이다.
미국 관세국경보호국(CBP)은 11일(현지시간) 스마트폰과 노트북 컴퓨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칩, 반도체 제조 장비 등을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하는 '특정 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안내'를 공지했다.
모바일 제조업계 관계자는 "스마트폰과 노트북, PC 부품에 대한 상호관세 유예가 결정된 데 대해 안도하지만, 앞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이 또 어떻게 바뀔지 모르니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이번 조치는 세계 스마트폰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삼성전자, 애플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조사 업체 카운터포인트 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스마트폰 시장 판매량의 56%를 애플이, 25%를 삼성전자가 차지하고 있다.
중국에 생산 공정이 없는 삼성 스마트폰은 상호관세에서 일단 자유로워졌지만, 중국에서 90% 가까이 생산하는 애플의 경우 상황을 예의주시해야 하는 입장이다.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와 별개로 펜타닐 등 마약 대응을 이유로 중국에 부과한 '10%+10%' 관세는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내다봤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중국 제조 스마트폰에 대한 20% 관세 여부가 불확실하다고 보도하는 등 해석이 분분한 상황이다.
세계 시가총액 1위 기업이자 스마트폰 시대를 주도한 애플은 제조공정 체제에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애플은 자국 내 제조업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지 않는다는 비판에도 노동 유연성·규모를 내세워 해외 생산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애플은 15%에 불과한 인도 내 스마트폰 생산 비율을 2027년까지 25%까지 끌어올려 중국 생산 몫을 줄일 예정으로도 알려졌다. 그러나 인도 생산인력의 숙련도, 공급망 생태계 성숙도, 정부 규제 등이 중국을 대체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미중 무역전쟁이 격화될 경우 애플은 더 난처한 처지에 놓일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전자 역시 애플과 관세 정책에서 차별받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최악의 경우 미국 공장 신설 카드를 고민해야 할 처지에 놓일 수 있다.
카운터포인트 리서치는 "생산 기지 이전과 같은 근본적인 해결책은 상당한 투자와 시간이 필요하며 단기적으로는 효과를 보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해결책 또한 관세 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고 한계를 분석했다.

댓글 많은 뉴스
국민의힘 "주 4.5일 근무 대선 공약 반영하겠다"
추미애, 이낙연 저격 "예전 전두환 칭송…국힘과 연대 이상할것 없어"
한동훈, '한덕수 추대론'에 견제구…"출마 부추기는 건 해당 행위"
이준석 '선대위' 출범…"보수기득권에 유승민처럼 당하지 않겠다"
오세훈 대선 불출마 선언…"백의종군으로 마중물 역할할 것"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