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 관련 관세 발표를 예고하면서 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12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 품목별 관세에 대한 질문에 "월요일(14일)에 그에 대한 답을 주겠다"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플로리다주 팜비치에서 마이애미로 이동하는 에어포스원 기내에서 기자들과 잠깐 만나 "우리는 매우 구체적일 것"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 등에 대한 품목별 관세 방침을 반복적으로 언급한 바 있다.
캐롤라인 레빗 대변인은 상호관세 대상에서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메모리칩 등이 제외된 것과 관련해 이날 발표한 성명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공정하고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자동차, 철강, 의약품, 반도체 등은 특정한 (다른) 관세에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에 대한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 결과를 곧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무역확장법 232조는 외국산 수입 제품이 미국의 국가 안보에 위협을 끼칠 경우 긴급하게 조치를 할 수 있는 권한을 미국 대통령에게 부여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법을 활용해 철강 및 자동차에 각 25%의 품목별 관세를 부과한 상태다.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유예되고 주력인 메모리 반도체가 예외 품목에 포함된 것은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언제든 고율의 관세가 부과될 수 있다는 불안감은 여전하다.
특히 미중 무역전쟁이 심화될 경우 직간접적인 피해가 불가피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국무역협회의 '공급망 분석을 통해 살펴본 한·중 무역구조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의 대중국 수출 중 78.4%는 중간재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고위기술 중간재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관련 품목 비중이 90% 이상을 차지했다.
한국의 1위 수출 품목이자 대(對)중국 수출 비중이 높은 반도체는 미중 간 관세전쟁이 격화될 때마다 긴장도가 높아진다.
이민희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행정부의 중국 수입품에 대한 관세 부과는 결국 최종 수요를 감소시킬 수밖에 없고, 한국 반도체 산업에도 타격이 불가피하다"며 "중국 외 글로벌 수요가 계속 부진한 상황에서 관세 부과 및 글로벌 무역 전쟁은 향후 최종 수요 기대를 더욱 낮추게 만든다"고 했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정부가 반도체 관세에 대해 여전히 애매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어 국내 기업의 대응에도 한계가 있다"며 "상황 변화를 예의주시하며 정부와 보조를 맞춰 대응하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국민의힘 "주 4.5일 근무 대선 공약 반영하겠다"
이철우, '선거 명소' 서문시장 방문…TK 지지세 결집 행보
이준석 "대구경북서도 호랑이 될 만한 사람 키워야…尹에게 누가 직언했나"
한동훈, '한덕수 추대론'에 견제구…"출마 부추기는 건 해당 행위"
유승민, 국힘 경선 불출마…"이재명 이길 생각 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