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도, '대형 산불' 피해 북동부권 5개 시·군 산림·문화재 복원 총력

경북도청 전경. 매일신문DB.
경북도청 전경. 매일신문DB.

경상북도가 '대형 산불' 피해를 입은 안동·의성·청송·영양·영덕 5개 시·군의 산림과 문화재 복구에 행정력을 결집하고 있다.

경북도는 산림청과 시·군, 산림조합 등 합동으로 산불 피해지역을 정밀 조사한 결과 응급복구와 연내 복구가 필요한 곳이 201개소, 항구복구가 필요한 지역은 97개소로 확인됐다고 13일 밝혔다. 도는 지난 8일 자로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NDMS)에 이를 입력했다. 앞으로 중앙과 지방 등 합동조사반으 오는 15일까지 각 기관에서 입력한 피해 내용을 조사·확인하면 산림분야 피해액과 복구액이 최종 확정된다.

도는 주민 생활권 주변의 산불 피해목이 쓰러지는 것 등을 방지하기 위한 응급복구와 산림 생태계 회복 등을 위한 조림사업 등 항구복구를 나눠 진행한다. 응급복구는 올해 내 완료를 목표로 추진되며, 항구복구의 경우엔 장기적 계획을 세워 내년부터 연차적으로 착수한다.

도는 산불 피해 긴급 복구를 위한 정부 추경에 위험목 제거(430억원) 등 국비 512억원을 요청한 상태다.

청명한 소리로 방문객과 신자들의 눈과 귀를 사로잡았던 경북 의성군 고은사 범종이 이번 의성 산불 피해로 파손된 채 현장에 남아 있다. 범종 주변에는 신도들의 소원이 적힌 기와가 함께 방치돼 있어 더욱 가슴아프게 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청명한 소리로 방문객과 신자들의 눈과 귀를 사로잡았던 경북 의성군 고은사 범종이 이번 의성 산불 피해로 파손된 채 현장에 남아 있다. 범종 주변에는 신도들의 소원이 적힌 기와가 함께 방치돼 있어 더욱 가슴아프게 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또 산불 피해를 입은 문화유산에 대한 긴급 안전점검 실시 등 문화재 복구에도 나선다. 도에 따르면 이번 산불로 국가 지정 문화유산 11개소, 도 지정 문화유산 20개소 등 총 31곳이 피해를 입었다. 시·군별로는 안동 15건, 청송 9건, 의성 6건, 영양 1건 등이다.

도는 긴급 안전점검을 통해 피해가 큰 곳에 대해선 임시 구조물 설치 등을 위한 안전진단 필요성 여부 등도 함께 점검한다. 또 소실되지 않고 남아 있는 문화유산은 원형을 최대한 보존하는 한편, 소실되거나 손상된 문화유산은 원재료 상태 등을 분석해 잔존가치를 평가해 수습 여부를 검토하기로 했다.

또 앞으로 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안전관리 강화 방안으로 ▷문화유산 재난방지시스템 구축 ▷재난방지시스템 유지관리 ▷문화유산 방재 드론 시스템 운영관리 ▷안전 경비 인력 운용 등 활동을 지원하는 한편 이번 산불 때 효과를 톡톡히 본 방염포 비치 등 추가적 방안도 강구하기로 했다.

도 관계자는 "최근 급격한 기후변화로 산불에 대한 예방과 대응에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며 "이번 산불로 피해를 본 산림과 문화유산을 조속히 복구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했다.

22일 경북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 야산에 발생한 산불이 밤까지도 꺼지지 않고 있다. 산림 당국은 해가 지자 야간 대응 체제로 전환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22일 경북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 야산에 발생한 산불이 밤까지도 꺼지지 않고 있다. 산림 당국은 해가 지자 야간 대응 체제로 전환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