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가 '대형 산불' 피해를 입은 안동·의성·청송·영양·영덕 5개 시·군의 산림과 문화재 복구에 행정력을 결집하고 있다.
경북도는 산림청과 시·군, 산림조합 등 합동으로 산불 피해지역을 정밀 조사한 결과 응급복구와 연내 복구가 필요한 곳이 201개소, 항구복구가 필요한 지역은 97개소로 확인됐다고 13일 밝혔다. 도는 지난 8일 자로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NDMS)에 이를 입력했다. 앞으로 중앙과 지방 등 합동조사반으 오는 15일까지 각 기관에서 입력한 피해 내용을 조사·확인하면 산림분야 피해액과 복구액이 최종 확정된다.
도는 주민 생활권 주변의 산불 피해목이 쓰러지는 것 등을 방지하기 위한 응급복구와 산림 생태계 회복 등을 위한 조림사업 등 항구복구를 나눠 진행한다. 응급복구는 올해 내 완료를 목표로 추진되며, 항구복구의 경우엔 장기적 계획을 세워 내년부터 연차적으로 착수한다.
도는 산불 피해 긴급 복구를 위한 정부 추경에 위험목 제거(430억원) 등 국비 512억원을 요청한 상태다.

또 산불 피해를 입은 문화유산에 대한 긴급 안전점검 실시 등 문화재 복구에도 나선다. 도에 따르면 이번 산불로 국가 지정 문화유산 11개소, 도 지정 문화유산 20개소 등 총 31곳이 피해를 입었다. 시·군별로는 안동 15건, 청송 9건, 의성 6건, 영양 1건 등이다.
도는 긴급 안전점검을 통해 피해가 큰 곳에 대해선 임시 구조물 설치 등을 위한 안전진단 필요성 여부 등도 함께 점검한다. 또 소실되지 않고 남아 있는 문화유산은 원형을 최대한 보존하는 한편, 소실되거나 손상된 문화유산은 원재료 상태 등을 분석해 잔존가치를 평가해 수습 여부를 검토하기로 했다.
또 앞으로 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안전관리 강화 방안으로 ▷문화유산 재난방지시스템 구축 ▷재난방지시스템 유지관리 ▷문화유산 방재 드론 시스템 운영관리 ▷안전 경비 인력 운용 등 활동을 지원하는 한편 이번 산불 때 효과를 톡톡히 본 방염포 비치 등 추가적 방안도 강구하기로 했다.
도 관계자는 "최근 급격한 기후변화로 산불에 대한 예방과 대응에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며 "이번 산불로 피해를 본 산림과 문화유산을 조속히 복구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국민의힘 "주 4.5일 근무 대선 공약 반영하겠다"
추미애, 이낙연 저격 "예전 전두환 칭송…국힘과 연대 이상할것 없어"
한동훈, '한덕수 추대론'에 견제구…"출마 부추기는 건 해당 행위"
이철우, '선거 명소' 서문시장 방문…TK 지지세 결집 행보
오세훈 대선 불출마 선언…"백의종군으로 마중물 역할할 것"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