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이 이재명 전 대표, 김동연 경기지사, 김경수 전 경남지사, 김두관 전 의원의 4파전으로 윤곽이 잡혔다. 잇따른 불출마 선언에 이 전 대표를 제외한 도전자가 3명에 그치면서 이재명 대세론에 더욱 힘이 실리고 있다.
비이재명계인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13일 공식 출마 선언을 했지만 또 다른 주자로 꼽혔던 부산 지역구 전재수 의원은 불출마하면서 당초 꼽혔던 야권 대선 후보군 중에 절반 정도만 도전하게 됐다.
민주당 대선 경선은 '이재명 대 비이재명계 3김(金)'의 구도로 흐르게 됐지만 '어대명'(어차피 대선 후보는 이재명) 기류가 일찌감치 형성되면서 이 전 대표 대세론이 굳어진 상태다.
여유가 있는 이 전 대표는 행보도 가장 적극적이다. 그는 대선일이 확정되자 당 대표직에서 사퇴하고, 대선 출마를 공식화했다. 또 '실용'과 '성장'에 무게를 둔 집권 구상을 발표하고, 후원회 출범 및 고향인 경북 안동의 부모 선영에 참배하는 등 속도전을 펼쳤다.
정치권에서는 형식적으로는 4파전이지만, 사실상 당내를 장악한 이 전 대표의 독주로 치러지는 경선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다. 경선 규칙도 당원 비중이 큰 만큼 비명계 3인방이 이 전 대표의 아성을 넘기 쉽지 않다는 분석이다.
민주당은 역선택 우려로 경선 방식을 기존의 선거인단 모집 방식 대신 '권리당원 투표 50%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로 확정했다. 당내 일극 체제를 구축하면서 당원의 압도적 지지를 받는 이 전 대표가 유리한 상황이다.
반면 지난 대선 예비 경선에서는 8명의 후보가 도전장을 냈고, 본경선에선 6명의 후보가 자웅을 겨뤘다. 당시 이낙연 전 국무총리가 이 전 대표의 '대장동 의혹' 등을 거론하면서 정면충돌하는 등 막판까지 경쟁에 불이 붙기도 했다.
당내에서는 이번 경선은 뚜렷한 쟁점이 없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이 전 대표가 최근 공직선거법 2심 무죄를 선고받으면서 '사법 리스크'의 부담을 던만큼 후보 교체론을 꺼내 들었던 비명계 주자들의 공세 선택지도 좁아졌다는 의견이다.



댓글 많은 뉴스
국민의힘 "주 4.5일 근무 대선 공약 반영하겠다"
추미애, 이낙연 저격 "예전 전두환 칭송…국힘과 연대 이상할것 없어"
한동훈, '한덕수 추대론'에 견제구…"출마 부추기는 건 해당 행위"
이준석 '선대위' 출범…"보수기득권에 유승민처럼 당하지 않겠다"
오세훈 대선 불출마 선언…"백의종군으로 마중물 역할할 것"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