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과 탄핵 정국을 거치며 방화, 분신 등 극단 행위가 증가하자 경찰이 대선 후보들에 대한 경호를 강화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14일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4∼9일 최근 전국 경찰을 대상으로 대선 경호팀 지원자를 모집했고, 체력 검증과 면접 등을 거쳐 이달 17일 최종 명단을 확정할 예정이다.
선발 규모는 지난 2022년 제20대 대선의 150명을 넘길 가능성이 크다. 경호팀은 각 정당의 후보가 확정되는 즉시 투입되며, 대선 종료 시점까지 '을호 경호'를 수행한다.
합격자는 경찰특공대의 별도 교육도 받게 한다. 경찰 관계자는 "최근 증가한 경호 위협 요인에 대해 교육을 준비 중"이라고 전했다.
경호팀은 각 정당에서 대선 후보를 선출했을 때 정식으로 투입된다. 그간은 후보자당 최대 30명이 배치됐는데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24시간 밀착 마크'를 원칙으로 주간에는 촉수 거리(팔을 뻗었을 때 닿는 거리)를 유지하고, 야간에는 후보자 자택 근처에서 경호를 제공한다.
업무가 고된 만큼 경호팀 지원자 중에는 특공대, 공수부대, 무도 특채 출신 등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조치는 최근 정치 양극화가 심화되며 공직자나 정치인을 향한 물리적 위협이 빈번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한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이후 시위 현장에서 벌어진 폭력 사태, 서부지법 습격 사태, 잦아진 온라인 상 테러 위협 등 극단 행위 증가 역시 이번 대선 경호 강화 방침에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1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부산에서 정치일정을 진행하던 중 흉기에 피습당했다. 다행히 생명에는 지장이 없었지만, 제1야당 대표의 신변이 실제로 위협받을 수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 사건 이후 정치권과 경찰 모두 경호 체계 전반에 대한 재점검에 들어갔고, 이번 조기대선을 앞두고도 같은 우려가 다시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지난 몇 달간 선관위 사무소를 겨냥한 방화 시도, 거리 유세 중 폭행 사건 등 공권력을 위협하는 사례가 끊이지 않았다. 이른바 '정치 폭력'의 위험이 경호 강화로 직결된 셈이다.
댓글 많은 뉴스
국민의힘 "주 4.5일 근무 대선 공약 반영하겠다"
한동훈, '한덕수 추대론'에 견제구…"출마 부추기는 건 해당 행위"
이준석 "대구경북서도 호랑이 될 만한 사람 키워야…尹에게 누가 직언했나"
이철우, '선거 명소' 서문시장 방문…TK 지지세 결집 행보
존재감 날마다 '괄목상대' 한덕수 돌풍…6·3대선 '태풍의 눈' 되나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