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유연 근무제를 활용한 주 4.5일제를 대선 공약에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14일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법정 근로시간인 주 40시간은 유지하되, 유연근로제를 통해 실질적으로 4.5일제 도입의 이점을 노릴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검토해 대선 공약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권 비대위원장은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하루 8시간 기본 근무 시간 외에 1시간씩 더 일하고 금요일에는 4시간만 근무한 뒤 퇴근하는 방식"이라며 "총 근무 시간이 줄지 않기 때문에 급여에도 변동이 없다"고 말했다.
또한 "기존 주 5일 근무 체제를 유지하면서도 유연한 시간 배분을 통한 주 4.5일제가 현실적인 대안이라 할 수 있을 것"이라며 "다만 유연근로제를 도입하더라도 생산성과 효율성 향상이 전제돼야 한다는 점도 분명히 밝힌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의 주 4일제 및 4.5일제에 대해서는 "급여를 그대로 유지하려는 비현실적이고 포퓰리즘적인 정책으로 오히려 노동시장에 큰 혼란을 줄 수 있다"며 "근로시간을 줄이게 되면 받는 급여도 줄어드는 것이 상식이라는 비판에 대해 설득력 있는 설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국민의힘은 주 52시간 근로제 폐지도 함께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권 비대위원장은 "주 5일제와 주 52시간 근로 규제는 시대의 흐름과 산업의 다양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획일적인 제도로 유연한 근로문화 구축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민의힘은 유연근무제를 적극 활용해 산업별·직무별·생애주기별로 다양한 근무 형태가 가능한 선진형 근로 문화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며 "노동시장의 새로운 역사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국민의힘에서 주 4.5일제 도입을 언급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진보 진영에서는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0대 대선과 22대 총선을 앞두고 주 4.5일제 도입을 공약했다. 김동연 경기지사도 지난해 임기 후반기 핵심 중점과제이자 혁신정책 도입 1호로 '임금 삭감 없는' 주 4.5일제 도입을 꼽았다.
댓글 많은 뉴스
국민의힘 "주 4.5일 근무 대선 공약 반영하겠다"
한동훈, '한덕수 추대론'에 견제구…"출마 부추기는 건 해당 행위"
이준석 "대구경북서도 호랑이 될 만한 사람 키워야…尹에게 누가 직언했나"
이철우, '선거 명소' 서문시장 방문…TK 지지세 결집 행보
존재감 날마다 '괄목상대' 한덕수 돌풍…6·3대선 '태풍의 눈' 되나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