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는 14일 첫 대선 공약으로 'AI 세계 3대 강국'을 목표로 내걸고 '100조원 투자 시대' 구상을 밝혔다.
이 전 대표는 이날 SNS를 통해 "챗GPT와 딥시크는 전 세계를 놀라게 했다. AI는 동시대 세계 경제의 판도를 바꿀 게임체인저"라며 "대한민국은 이제 추격 국가가 아니라 첨단과학 기술로 세계의 미래를 설계하고 글로벌 질서와 문명을 이끄는 선도 국가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AI 투자 100조원 시대를 열겠다. 정부가 민간 투자의 마중물이 돼 AI 관련 예산을 선진국을 넘어서는 수준까지 증액하고자 한다"며 "대통령 직속 기구인 '국가인공지능위원회'의 내실을 강화해 'K-AI 시대'를 다지고, 기술자·연구자·투자기업과 정부의 협력을 대통령인 위원장이 직접 살피는 명실상부한 중심 기구로 재편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가 AI 데이터 집적 클러스터 조성 ▷AI 핵심 자산 GPU 최소 5만 개 이상 확보 ▷AI 전용 NPU 개발과 실증 적극 지원 ▷기업 연구·개발 지원을 위한 공공 데이터 민간 개방을 제안했다.
AI 분야 국제협력도 강조하면서 글로벌 AI 공동투자기금 조성과 협력국 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을 통해 태평양·인도·중동 국가까지 협력이 확대되면 디지털 인구가 10억명까지 늘어날 수 있다고 했다.
이 전 대표는 국가 차원의 AI 인재 양성 교육도 강조했다. 그는 "STEM(Science, Tec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 프로그램을 도입해 과학·기술·공학·수학 교육을 강화하고, AI 인재 양성을 국가 책임으로 명시하겠다"고 언급했다.
인재 양성과 관련해 ▷지역별 거점대학 AI 단과대학 설립·석박사급 전문 인력 양성 ▷AI 분야 우수 인재의 병역특례 확대 ▷해외 인재 유치 ▷제조업·ICT·뷰티산업·방위산업 등 AI 융복합 인재 육성을 강조했다.
또 AI 규제 합리화를 강조하면서 AI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관련법 정비 및 특허법·출입국관리법 등 규제 특례가 적용될 AI 특구 확대 등의 방안도 설명했다.
이 전 대표는 앞서 제안했던 모든 국민이 선진국 수준의 AI를 무료로 활용할 수 있는 '모두의 AI' 프로젝트도 재차 거론했다.
이른바 '한국형 챗GPT'를 전 국민이 사용할 경우 수많은 데이터를 확보해 다른 산업과의 융합을 통해 생산성 혁신·신산업 창출로 이어지고, AI로 금융·건강·식량·재난 리스크를 분석해 국민의 삶을 지키는 'AI 기본사회'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댓글 많은 뉴스
국민의힘 "주 4.5일 근무 대선 공약 반영하겠다"
한동훈, '한덕수 추대론'에 견제구…"출마 부추기는 건 해당 행위"
이준석 "대구경북서도 호랑이 될 만한 사람 키워야…尹에게 누가 직언했나"
이철우, '선거 명소' 서문시장 방문…TK 지지세 결집 행보
존재감 날마다 '괄목상대' 한덕수 돌풍…6·3대선 '태풍의 눈' 되나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