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의 흥행을 두고 경상북도가 아쉬움을 삼키고 있다. 경북도청 신도시내 건립한 세트장이 촬영 종료 이후 철거되면서 관광 자원으로 활용 가능성이 사라져서다. 최근 경북 곳곳이 각종 드라마·영화 등 K콘텐츠 촬영지 명소로 떠오르면서, 지역 관광 산업 발전의 마중물로 활용할 필요가 있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경북도에 따르면 제주 도동리 마을을 배경으로 하는 '폭싹 속았수다'는 도청신도시 2단계 개발 지구 내 3만3천58㎡(약 1만평) 부지에서 지난해 2월까지 촬영이 이뤄졌다. 제작진은 이곳에 초가집 80여 채, 현무암 돌담, 어선 등을 설치하고 대규모 컴퓨터 그래픽(CG) 작업 등에 공을 들였다. 세트장은 촬영 종료 이후 철거됐지만 드라마에는 경북도청 원당지와 안동 안동댐, 청도 운문사, 칠곡 가실성당, 천주교 대구대교구청 등 대구경북 명소 곳곳이 등장했다.
세트장이 도청 신도시 내에서 설치돼 실제 촬영이 이뤄지면서 지역 건설업체, 숙박업소 등은 매출 증가 효과를 누렸다. 다만, 촬영 직후 세트장이 철거되면서 관광객 유입 등 효과는 기대할 수 없게 됐다.

경북도는 제작사와 임대 계약을 맺고 지역 내 유휴부지를 촬영지로 제공하고 있다. 일부 제작사에 부지 매입 등을 건의했으나 제작사 측이 난색을 표했다고 한다. 최근 드라마·영화 제작 시 CG 비중이 높아지면서 많은 돈을 들여 세트장을 건립하기보다는 부지를 임대하는 게 더 효과적이라는 판단에서다.
이 같은 상황에서 도는 앞으로 안동·문경·상주 일원 33만578㎡(약 10만평) 부지에 4년 간 2천130억원을 들여 '영상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추진 중이다.
2000년대 초반부터 각종 사극 제작이 이뤄진 문경은 기존 시설을 리모델링하는 한편, CG 작업 등이 가능한 가상 스튜디오 건립을 추진한다. 안동은 옛 안동경찰서나 경북도청, 도청 행정타운 등을 제공해 관공서를 주제로 한 콘텐츠 촬영을 지원한다. 특히, 문경에는 오픈세트장과 실내스튜디오 등이 들어서는 영화종합촬영소 건립을 목표로 관계기관과 협의를 이어가고 있다.
또 작품 편집 등 후반부 작업이 가능한 영상제작 지원센터 등을 조성하고, 관광 자원 활용과 인력 양성 등 전·후방 산업 생태계도 조성할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제작사와 부지 매입 관련 협의도 했지만 장기 임대 또는 활용 후 기부채납 등 의사가 강한 것으로 파악돼 쉽지 않다"면서 "영상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해 관련 산업을 집적화하는 게 효과적이라 판단하고 있다. 클러스터 조성 이후 제작사를 지속적으로 유치할 계획"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국민의힘 "주 4.5일 근무 대선 공약 반영하겠다"
이준석 "대구경북서도 호랑이 될 만한 사람 키워야…尹에게 누가 직언했나"
한동훈, '한덕수 추대론'에 견제구…"출마 부추기는 건 해당 행위"
이철우, '선거 명소' 서문시장 방문…TK 지지세 결집 행보
김수현, 악플러들 고소했다…"앞으로도 법적 조치 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