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파나마 운하 운영권 환수를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파나마 감사원장이 20년 넘게 파나마 운하 항구 운영을 맡았던 홍콩계 회사에 대해 결제 불이행과 회계 오류 등 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수사를 요청해 관심이 쏠린다.
아넬 플로레스 파나마 감사원장은 14일(현지시간) '라디오파나마'와 인터뷰에서 "파나마 포트 컴퍼니(PPC)의 파나마 운하 항구 운영건은 파나마 역사상 최악의 강도 사건일 것"이라며 "그들에게 너무 많은 것을 양보하면서, 우리는 엄청난 금액의 손실을 봤다"고 말했다.
PPC는 홍콩계 기업 CK 허치슨 홀딩스의 파나마 운하 운영 자회사로 5개 항구 중 발보아 항구와 크리스토발 항구 운영권을 가지고 있다. 계약상 파나마 측에서 10% 지분을 가지고 있다.
플로레스 감사원장은 "PPC는 자회사를 설립한 뒤 해당 자회사로 수익을 일부 빼돌리는 방식으로 모회사 순이익을 감소시켰다"며 "최근 24년 동안 이런 방식으로 우리에게 12억 달러(1조7천억원 상당) 이상의 손실을 입혔다"고 주장했다.
PPC 수익으로 잡혔다면 파나마 당국에 더 많은 배당금이 떨어졌을 테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파나마 조세 당국에서 징수했어야 할 세금 규모도 줄었다고 파나마 감사원은 판단했다.
일간 라프렌사파나마는 이번 감사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운하 환수 위협' 시기에 집중적으로 이뤄졌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미 행정부는 초기 대(對)중남미 외교 정책과 관련, 파나마 운하에서의 존재감 확대에 중점을 두고 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외교·안보정책의 핵심인 마코 루비오 국무부 장관과 피트 헤그세스 국방부 장관이 잇따라 파나마 운하를 찾아 '중국 견제를 위한 실제적인 변화'를 요구하는 트럼프 의중을 간접적으로 전달하거나 연합군사훈련 구상을 공표하며 파나마 정부를 향한 전방위 압박을 가하기도 했다.
중국 당국도 파나마 운하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있다. 홍콩 CK 허치슨 홀딩스는 파나마 포트 컴퍼니 지분 전량(90%)을 미국 자산운용사 블랙록 측에 매각하기로 합의했지만, 중국 당국의 반(反)독점 조사 여파로 최종 계약 체결을 미룬 바 있다.
댓글 많은 뉴스
국민의힘 "주 4.5일 근무 대선 공약 반영하겠다"
이철우, '선거 명소' 서문시장 방문…TK 지지세 결집 행보
이준석 "대구경북서도 호랑이 될 만한 사람 키워야…尹에게 누가 직언했나"
한동훈, '한덕수 추대론'에 견제구…"출마 부추기는 건 해당 행위"
유승민, 국힘 경선 불출마…"이재명 이길 생각 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