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반도체 관세 부과를 예고하면서 국내 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메모리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뿐 아니라 반도체 기판을 포함한 부품과 장비, 웨이퍼 등 사실상 전체 반도체 공급망을 미국에 두겠다는 뜻을 밝혔기 때문이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14일(현지시간) 관보에서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반도체, 반도체 제조장비, 파생제품의 수입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기 위한 조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반도체 관련 조사 대상에는 ▷반도체 기판(substrate) ▷웨이퍼(bare wafer) ▷범용(legacy) 반도체 ▷최첨단(leading-edge) 반도체 ▷미세전자(microelectronics) ▷반도체 제조장비 및 부품 등이 포함된다.
검토 중인 모든 조사 대상이 품목별 관세 항목인 반도체 관세에 포함될 경우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같은 반도체 제조업체뿐 아니라 삼성전기, LG이노텍, SK실트론 등도 영향권에 들 것으로 예상된다.
품목별 관세는 생산지와 상관없이 미국으로 수입되는 반도체 관련 제품에 모두 매겨진다. 무엇보다 이번 조사는 미국 행정부가 반도체 관세 범위를 반도체 칩에 얽힌 모든 공급망으로 넓히겠다는 의도가 깔린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웨이퍼의 경우 반도체 제조에 빠질 수 없는 재료인 탓에 반도체 관세가 실현될 경우 이를 피하기란 쉽지 않다. 미국 빅테크를 상대로 첨단 반도체 기판 '플립칩 볼그리드 어레이'(FC-BGA) 사업을 확장 중인 삼성전기와 LG이노텍 등 전자 부품업체들의 우려도 높다.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지역에 공급망을 다변화한 삼성전기와 LG이노텍은 상호관세 90일 유예로 한숨 돌린 상태지만, 이번 반도체 관세의 검토 대상 포함으로 불확실성이 여전하다.
업계에선 이 같은 전방위적인 반도체 관세 정책이 실현되기란 쉽지 않다고 보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 정책을 계속해서 협상을 위한 카드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속단하긴 이르지만 관세가 실제로 부과되면 미국 내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고, 애플과 같은 미국 업체들의 피해도 만만치 않아서 실행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인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국민의힘 "주 4.5일 근무 대선 공약 반영하겠다"
이철우, '선거 명소' 서문시장 방문…TK 지지세 결집 행보
이준석 "대구경북서도 호랑이 될 만한 사람 키워야…尹에게 누가 직언했나"
한동훈, '한덕수 추대론'에 견제구…"출마 부추기는 건 해당 행위"
유승민, 국힘 경선 불출마…"이재명 이길 생각 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