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발 관세 전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한국이 조선·방산과 에너지, 인공지능(AI)·반도체 분야의 협력으로 기회를 찾아야 한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대한상공회의소와 한미협회는 15일 '한미 산업협력 콘퍼런스'를 열고 이들 분야에서의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행사에는 최중경 한미협회장과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 박성택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 제임스 김 주한미국상공회의소(암참) 회장 등 120여명이 참석했다.
최중경 회장은 "한국의 생산 역량과 미국의 첨단 기술력이 결합하면 양국은 강력한 시너지 효과를 낼 것"이라며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도 한국을 안보·외교적 파트너를 넘어 경제·산업의 핵심 협력국으로 인식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로버트 피터스 헤리티지재단 선임연구원은 "한국과의 MRO 협력은 전시에 미국 본토로 돌아가지 않고 한국에서 빠르게 전투함을 수리할 수 있다는 의미와 평시에는 미국 조선소의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주장했다.
에너지 분야에서는 액화천연가스(LNG) 대미 수입 확대와 원전 협력 강화 방안이 제시됐다.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 교수는 "미국의 LNG는 과잉 상태"라며 "미국 입장에서도 한국이 중요한 거래대상국이다 보니 한국은 수입량을 대폭 늘리면서 수입 가격을 일정 부분 낮추는 전략을 쓸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1기 에너지부 차관을 역임한 마크 메네즈 미국에너지협회 회장은 "한국은 LNG를 전량 수입하는 상황인 데다 대미 무역흑자 완화를 목표한다면 미국산 LNG 수입 확대가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AI·반도체 전문가들은 AI 파운데이션 모델 협력과 응용 서비스를 강화할 것을 주장했다.
주제 발표에 나선 김창욱 BCG MD파트너는 "미국이 선도하는 AI 모델을 한국 기업들이 활용할 수 있게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반대급부로 AI 빅테크 기업들이 한국에 데이터센터를 설립할 때 설비투자 비용을 분담하거나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임대하는 방식(GPUaaS)을 검토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제임스 김 암참 회장은 "LNG와 조선, 항공우주, 반도체 등 전략 산업을 중심으로 한 한미 산업 협력 확대는 지속 가능한 통상 환경 조성과 병행돼야 할 과제"라며 "비관세장벽 해소와 실질적인 규제개혁은 양국 간 무역의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의 성공을 뒷받침할 핵심 요소"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국민의힘 "주 4.5일 근무 대선 공약 반영하겠다"
한동훈, '한덕수 추대론'에 견제구…"출마 부추기는 건 해당 행위"
'정치 보복' 않겠다는 이재명…"제 인생에 보복한 적 없어"
이철우, '선거 명소' 서문시장 방문…TK 지지세 결집 행보
이준석 "대구경북서도 호랑이 될 만한 사람 키워야…尹에게 누가 직언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