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트럼프 관세 협상 돌입하는 한국…내주 협상 진행할 듯

무역균형·비관세 장벽 해소 제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오른쪽),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오른쪽),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연합뉴스

한국 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와 내주 본격적인 관세 협상에 돌입할 것이란 예측이 나오면서 진전이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미국이 5개 우선협상국에 한국을 포함한 가운데 내주 한미 고위급 협상을 앞두고 있다. 정부는 최선의 제안을 요구하는 미국을 상대로 에너지 등 미국산 수입 확대, 비관세 장벽 해소 등 다각도로 관세 최소화를 끌어낼 방침이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14일(현지시간)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내주 한국과의 무역 협상을 예고하면서 한국 등 상대국들이 가져오는 '최선의 제안'(A game)에 따라 협상이 매우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도 베선트 장관이 90일의 상호관세 유예 기간 한국, 영국, 호주, 인도, 일본 5개국을 최우선 협상 목표(top targets)로 삼겠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이 같은 상황 속 한국에 대한 미국의 합의 요구가 강해지며 본격적인 협상 테이블이 마련될 수 있다는 관측이 힘을 얻는다.

한국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이르면 내주 미국에 방문해 대미 협상에 나설 예정이다. 정부는 무역 균형 추구는 물론 비관세 장벽 해소 등을 함께 담은 패키지를 미국에 제안할 예정이다.

특히 가스, 원유, 농산물 등의 구매를 늘리는 수입 확대와 자동차, 반도체 등 주요 기존 수출 제품을 미국 현지 생산을 늘리는 수출 대체라는 두 가지 굵직한 방안을 중심으로 트럼프 대통령 임기 동안 개선할 무역 수지 효과 예측치를 담은 로드맵도 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미국이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인 한국에 상호관세 부과 명분으로 삼는 비관세 장벽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도 집중 설명한다.

통상 당국자는 "오늘 범경제 부처와 안보 부처 장관들이 모여 미국에 제시할 안을 논의하는 회의를 연다"며 "부처별로 미국에 제시할 수 있는 안을 모두 내놓고 이를 모아 안 장관이 내주 방미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