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우려 여전한 새마을금고 '부실채권', 신속한 대책 내놓아야

새마을금고의 '고정이하여신'(固定以下與信·부실채권) 금액이 급증하고 있다. 건전성(健全性) 악화 우려가 가시지 않고 있는 것이다. 고객들은 거래 금고의 경영 공시를 열람(閱覽)해 위험 여부를 확인하는 등 마음을 놓지 못하고 있다. 2023년 7월 새마을금고의 '뱅크런'(bank run·현금 대량 인출) 사태를 경험했기 때문이다.

한 언론매체에 따르면 새마을금고의 '고정이하여신' 금액은 지난해 16조9천558억원을 기록했다. 5년 새 5배 가까이 늘어난 금액이다. 연체율도 상승해 지난해 말 기준 6.81%다. 매일신문 보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경영실태평가에서 대구의 금고 95곳 중 6곳이 가장 낮은 종합 5등급(위험)을 받았다. 4등급(취약)을 받은 금고도 10곳이었다. 4·5등급인 금고가 16.8%나 된다. 새마을금고중앙회는 관련 법에 따라 종합 등급이 4~5등급인 금고에 경영 개선 조치를 요구할 수 있다.

새마을금고의 부실채권(不實債權) 급증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의 여파로 분석된다. 새마을금고가 확대한 PF 대출이 금리 상승·부동산 경기 침체로 인해 부실로 이어진 것이다. 일부 금고의 '무담보 대출'도 전체 연체율을 끌어올리는 원인이 됐다. 새마을금고중앙회는 뱅크런 사태 이후 강도 높은 구조 개선을 통해 24개 금고를 합병(合倂) 완료한 데 이어 추가 합병으로 안전성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감독기관인 행정안전부는 금융감독원·예금보험공사와 함께 금고 건전성 개선을 목표로 합동 감사에 착수했다. 당연한 조치들이다.

이런 대응만으로는 부족하다. 새마을금고의 부실은 지역 경제와 서민 금융에 엄청난 피해를 줄 수 있다. 따라서 불안 심리를 해소하는 조치들이 필요하다. 정부와 중앙회는 예금주들이 안심할 수 있도록 경영 쇄신책을 내놓아야 한다. '시한폭탄'(時限爆彈)인 PF 부실 채권을 조속히 정리하고, 여신 심사도 한층 강화해야 할 것이다. 개별 금고의 전문성과 책임감을 제고하는 방안도 고민해야 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