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최고 명문대인 하버드대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캠퍼스 내 반유대주의 근절 요구에 맞서 싸우고 있는 가운데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을 정면으로 비판하고 나섰다. 모교인 하버드대에 대한 미 행정부의 정책 변경 요구는 '불법적 억압'이라며 목소리를 높인 것이다.
오바마 전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엑스(X)에 "하버드는 학문의 자유를 억압하려는 불법적이고 거친 시도를 거부하는 동시에 모든 학생이 지적 탐구, 치열한 토론, 상호 존중의 환경에서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구체적인 조처를 함으로써 다른 고등 교육기관의 모범이 되고 있다"며 "다른 기관들도 이를 따르기를 바란다"는 내용의 글을 올렸다.
유대인인 앨런 가버 총장도 일관된 비판 기조를 유지했다. 가버 총장은 교내 커뮤니티에 보내는 글에서 "우리 대학은 독립성이나 헌법에 보장된 권리를 놓고 협상하지 않을 것"이라며 트럼프 행정부가 요구해온 정책 변경과 관련해 어떤 자세 변화도 없음을 밝혔다. 하버드대는 공개서한을 통해 "연방 정부가 반이스라엘 시위와 다양성(DEI) 정책 등을 거부하지 않으면 연방보조금 22억 달러(한화 약 3조1천억원)를 지급하지 않겠다는 정부 요구를 거부한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가버 총장은 특히 "트럼프 정부가 연방 기금 지원 유지 대가로 기존의 요구 조건을 넘어서는 조건부 학칙 연장을 요구했다"고 지적하며 "이는 반유대주의를 협력적이고 건설적인 방식으로 해결하기 위해 우리와 협력하고자 하는 의도가 아님을 분명히 보여준다"고 꼬집었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물러서지 않고 면세 지위 박탈까지 위협하면서 법정 공방도 예상된다는 현지 시각이 우세하다.
한편 하버드대의 강경한 입장 고수에 예일대 교수진 876명도 대학 이사회 등 지휘부에 서한을 보내 트럼프 행정부 탄압에 맞설 것을 요구했다. 이들은 "우리는 갈림길에 서 있다. 미국 대학들은 표현의 자유, 결사의 자유, 학문의 자유를 포함한 민주사회의 기본 원칙을 위협하는 심각한 공격에 직면해 있다. 지금 우리와 함께해 주기를 간곡히 부탁한다"고 호소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정치 보복' 않겠다는 이재명…"제 인생에 보복한 적 없어"
한동훈, '한덕수 추대론'에 견제구…"출마 부추기는 건 해당 행위"
국민의힘 "주 4.5일 근무 대선 공약 반영하겠다"
김수현, 악플러들 고소했다…"앞으로도 법적 조치 할 것"
이준석 "대구경북서도 호랑이 될 만한 사람 키워야…尹에게 누가 직언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