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관세전쟁에 반도체 장비 '빅3'도 타격…'수퍼 을' ASML도 실적 악화

미국의 반도체 장비 제조사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 로고
미국의 반도체 장비 제조사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 로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반도체 장비 제조업체들이 연간 10억달러(약 1조4천300억원) 이상의 비용 부담을 추가로 떠안게 될 것으로 추산된다.

15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국 3대 반도체 장비 제조업체인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램리서치, KLA를 비롯한 업계 경영진은 지난주 미국 정부 당국자들과 관세로 인한 부담 문제를 논의했다. 기업당 연간 3억5천만달러(약 5천억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온투 이노베이션을 비롯한 상대적으로 규모 작은 업체들도 수천만달러의 비용 상승이 예상된다.

추가 비용은 주로 반도체 장비를 중국 등 해외 시장에 판매하지 못해 발생하는 매출 손실과 제조장비 부품의 대체 공급업체를 찾는 데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잡한 관세 관련 정책을 준수하기 위해 추가 인력을 채용하는 것도 비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한다.

미국 의원들과 정부 당국자들은 관세정책에 따른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반도체 업계 경영진,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 관계자들과 비용 문제를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에서도 첨단 반도체 제조 장비의 중국 수출을 억제하기 위해 일련의 규제를 해왔기 때문에 업계는 이미 수십억달러의 매출 손실을 본 것으로 추산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을 제외하고 각국에 대한 상호 관세를 유예했으나 14일 반도체, 반도체 제조장비, 파생 제품의 수입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기 위한 조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업계의 추가 비용 추정치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가 실제 부과되면 달라질 수 있다. 제조장비에는 여러 부품이 필요하고 관세율도 얼마가 될지 불분명해 정확한 계산은 어려운 상태다.

네덜란드 반도체 장비업체인 ASML도 1분기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실적을 기록했다. ASML의 1분기 수주액은 39억4천만유로(약 6조3천억원)로 이는 시장 전망치 평균 48억2천만유로(약 7조8천억원)를 밑도는 수치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