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자차로 순찰 활동하는데 유류비 0"…대구 산불감시원 처우 개선 목소리

동구서 산림 면적 가장 넓은데…최저임금에 유류비 지급 안 해
동구청 "형평성 논란 불가피…신중하게 검토"

대구 동구 공산동의 한 산불감시원이 불법 소각행위 단속을 위해 순찰활동을 돌고 있다. 김유진 기자
대구 동구 공산동의 한 산불감시원이 불법 소각행위 단속을 위해 순찰활동을 돌고 있다. 김유진 기자

최근 대형 산불이 잇따르는 가운데 대구 대부분 지역이 산불감시원에 유류비를 지급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산불감시원 상당수가 최저임금 수준의 급여를 받으며 개인 차량을 이용하는 상황에서 순찰활동이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7일 대구 동구 공산동행정복지센터 내 산불감시사무소 소속 한 산불감시원 순찰을 동행해 봤다. 공산동은 동구 행정동 중에서도 면적 83.80㎢를 차지해 가장 넓은 데다 대부분이 산지로 차량 이동이 필수인 곳이다.

행정복지센터에서 가장 가까운 '내동초소'는 센터에서 약 5km 떨어져 있었다. 산불감시원 개인 차량으로 이동한 덕분에 7분 만에 도착할 수 있었지만 도보로는 50분이나 걸리는 거리였다. 센터에서 가장 먼 '지경초소'의 경우 약 12㎞ 떨어져 차량으로도 20분 운행해야 도착할 수 있었다.

이처럼 지역 내 산불감시초소와 감시탑 간의 거리가 멀어 사실상 차량이나 오토바이 등 개인 이동수단은 필수다. 실제로 동구청 산불 감시원 공고문에도 우대사항에 기동장비 소지자가 적시돼있다. 올해 활동 중인 공산동 산불감시원 15명 모두 개인 차량을 이용해 근무 중이다.

문제는 대구 산불감시원 상당수가 유류비 지급 없이 활동하고 있다는 점이다. 현재 대구 9개구군 중 유류비를 지급하는 곳은 하루 7천원 수준의 군위군 뿐이다. 산림 지역 비중이 높은 동구의 경우 하루 3천원의 유류비가 지급되다 2017년 끊겼다.

산불감시원들은 당해 최저임금에 맞춘 급여만 지급받는 상황에서 유류비까지 없으면 순찰 활동이 위축될 수밖에 없다고 입을 모은다.

산불감시원 A씨는 "공산동은 지형 특성상 산지가 많은 곳이라 출퇴근을 제외해도 하루에만 최소 40㎞가 넘게 차로 다녀야 해 한 달 기름값만 15만원씩 든다"며 "사실상 개인 차량 운행이 필수인 상황에서 최소한의 유류비는 지급이 돼야 제대로 활동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동구청 관계자는 "산불감시원들의 처우 개선에는 공감하지만 구청에서 고용 중인 녹지 관련 근로자만 200여명에 달하는 상황"이라며 "유류비 지급이 형평성 문제를 유발할 수도 있기에 신중하게 검토할 문제"라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