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초·중·고등학교의 급식실 조리 실무사 10명 중 6명은 열악한 근무 환경 탓에 정년을 채우지 않고 작년 조기 퇴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학비노조)이 진보당 정혜경 의원실과 함께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작년 급식 조리실무사 중 정년을 채우지 않고 자발적으로 퇴사한 비율은 60.4%로 집계됐다. 이 비율은 ▷2022년 56.7% ▷2023년 57.5% ▷2024년 60.4% 등 최근 3년간 꾸준히 증가했다.
특히 입사한 지 3개월 이내 퇴사한 비율은 작년 상반기 기준 15.6%였고, 6개월 이내 퇴사율도 7.1%였다.
17개 시도교육청 학교 급식실 조리실무사의 결원율은 지난달 4일 기준 평균 4%였다. 총정원 4만3천877명 중 1천748명이 채워지지 않았다. 결원율이 17개 시도 평균보다 높은 지역은 인천(13%), 서울(12%), 제주(10%), 세종(9%) 등이었다.
조리실무사 신규 채용도 원활히 이뤄지지 않았다. 올해 상반기 신규 채용 미달률은 평균 29%로 집계됐다. 서울의 미달률이 84.5%로 가장 높았고, 울산(56.8%), 제주(55.3%), 인천(33.3%), 충북(33.1%) 등이 뒤를 이었다.
조리 실무사는 오전 일찍 학교로 출근해 수백 명의 급식을 조리하는 등 노동 강도가 매우 높지만, 처우가 열악해 채용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는다고 노조는 주장했다.
조리실무사들은 열악한 노동 환경과 함께 병가·연차 사용의 어려움도 호소했다.
학비노조가 3월 26일~4월 2일 전국 급식실 조리실무사와 조리사 6천84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94.5%가 '노동 강도가 강하다'고 답했고, 60.8%는 '병가와 연차 사용이 어렵다'고 토로했다.
퇴사 이유를 주관식으로 묻자 '고강도 노동에 비해 임금이 너무 적다', '사람이 없고 일을 배우기도 전에 감당해야 할 일이 너무 많다' 등의 응답이 나왔다.
학비노조는 "인력 충원, 처우 개선, 노동환경 개선 등 교육 당국의 근본적인 대책이 없다면 현재와 동일한 추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
헌재재판관 지명 위헌 논란…한덕수 대행 역풍 맞나
한덕수 돌풍, '어게인 노무현'?…영남이 선택한 호남 후보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