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산불 산림피해 규모가 산림청이 추산한 것의 2배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17일 각 지자체와 당국 등에 따르면 산림청을 포함한 정부 기관 합동 조사 결과 경북 5개 시군을 휩쓴 산불 피해 규모는 9만㏊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산림청이 발표한 산불영향구역 4만5천157㏊에 2배 가까운 규모로, 역대 최악으로 불렸던 2000년 동해안 산불 산림 피해면적의 4배 수준이다.
산불영향구역은 화재 현장에 형성된 화선 안에 포함된 면적으로 진화가 완료된 뒤 확인하는 피해면적과는 다르다. 진화가 완료되고 타지 않은 부분은 산불영향면적에는 포함되지만 피해면적에는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통상 영향면적이 실제 피해면적보다 넓게 잡힌다.
하지만 이번 경북 산불은 실제 피해면적이 눈덩이처럼 불어나며 산림청이 추산한 산불영향구역보다도 훨씬 큰 규모로 확인된 것이다.
이 때문에 산림청의 당초 피해규모 추산에 문제점이 있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산림 당국은 조만간 산림 피해 면적을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경북 산불 피해 조사 결과, 사유시설과 공공시설 피해액은 1조1천306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당국은 애초 지난 15일 피해조사를 마무리하기로 했다가 사유 시설 피해 확인을 17일까지 연장했다.
지난달 22일부터 일주일간 의성, 안동, 청송, 영양, 영덕 5개 시군을 덮친 산불 피해 규모는 사유시설 5천90억원, 공공시설 6천216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공공 피해 가운에 산림이 5천831억원으로 94%를 차지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 15일 12조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을 발표하며 산불피해 복구 예산을 보강했다.
정부의 추경안에서 재해·재난 대응 3조원 이상이 구성됐는데, 신속한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해 재해대책비를 기존 약 5천억원에서 2배 이상 보강한다. 신축 임대주택 1천호, 주택 복구를 위한 저리 자금 등을 지원해 이재민의 주거 안정도 뒷받침한다.
또 산불·여름철 태풍 등 재해·재난에 대응하기 위해첨단장비 도입, 재해 예비비 등에 2조원을 반영한다. 중·대형급 산림헬기 6대, AI 감시카메라(30대), 드론(45대) 다목적 산불 진화차(48대) 등을 추가로 도입해 산불 예방·대응 역량을 강화한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
헌재재판관 지명 위헌 논란…한덕수 대행 역풍 맞나
이재명 "'대통령 집무실' 세종으로…충청은 대한민국 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