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2.75%로 동결했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17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 수준(2.75%)으로 유지한다고 밝혔다. 올해 1분기 경기 부진과 통상여건 악화로 성장하방 위험이 확대됐지만 환율 변동성과 가계대출 흐름을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판단이다.
한은은 통화정책방향 결정문을 통해 "미국 관세정책 변화, 정부 경기부양책 추진 등에 따른 전망 경로의 불확실성이 크고, 환율의 높은 변동성과 가계대출 흐름도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는 만큼 현재의 기준금리 수준을 유지하면서 대내외 여건 변화를 점검해 나가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앞으로 내수 부진이 일부 완화되겠지만 수출은 통상여건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올해 성장률은 지난 2월 전망치(1.5%)를 하회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면서 향후 무역협상 전개 양상, 추가경정예산(추경) 집행 시기·규모 등에 따라 성장 경로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상황이라는 설명을 달았다.
물가 상승률의 경우 높은 환율이 상방 요인으로 작용하겠지만 유가 하락, 낮은 수요 압력 등으로 2% 내외에서 안정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소비자물가, 근원물가 상승률은 지난 전망치인 각각 1.9%, 1.8%에 대체로 부합할 것이란 관측이다.
가계대출은 낮은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으나 최근 늘어난 주택거래 영향으로 증가 규모가 일시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지역 주택가격 오름세와 주택 거래량은 크게 확대됐다가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이후 둔화 흐름을 보였다고 한은은 평가했다.
한은은 "물가 상승률이 안정적 흐름을 이어가고 있으나 글로벌 통상여건 악화로 성장하방 위험이 증대되고 전망 경로의 불확실성도 크게 확대된 상황"이라며 "성장하방 리스크 완화를 위한 금리인하 기조를 이어나가되 대내외 정책여건 변화와 이에 따른 물가, 가계부채, 환율 흐름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기준금리 추가 인하 시기와 속도를 결정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
헌재재판관 지명 위헌 논란…한덕수 대행 역풍 맞나
이재명 "'대통령 집무실' 세종으로…충청은 대한민국 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