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파병 북한군, 우크라 본토에도 진입하나?

우크라내 4개 점령지로 재배치 가능성 제기
쿠르스크 수복 힘입고, 본토 파병까지 계획
北, 파병 대가로 군사 첨단기술도 전수받아

북한이 러시아와 함께 군사대국을 꿈꾸고 있다. 만수산 기념관 앞에 서 있는 김일성-김정일 부자의 동상. 연합뉴스
북한이 러시아와 함께 군사대국을 꿈꾸고 있다. 만수산 기념관 앞에 서 있는 김일성-김정일 부자의 동상. 연합뉴스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이 쿠르스크 지역을 넘어 우크라이나 본토 진입도 준비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실제 러시아는 북한군의 혁혁한 공으로 우크라이나에 빼앗겼던 쿠르스크 지역을 거의 되찾았다. 하지만 북한군의 러시아와 함께 군사작전에 깊숙이 개입할수록, 전쟁 확대의 위험성은 높아지고 있다.

우크라이나 국가안보국방위원회 산하 허위정보대응센터의 안드리 코발렌코 센터장은 16일(현지시간) 텔레그램에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영토에서의 전쟁에 북한군을 사용할 계획"이라며 "북한군은 쿠르스크에서와 마찬가지로 러시아 군복을 입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러시아는 전쟁 첫 해인 2022년 9월 4개 점령지(도네츠크·루한스크·자포리자·헤르손)에서 러시아 귀속 찬반 주민투표를 강행, 이들 지역을 러시아에 합병시켰는데 이 지역에 북한군이 투입될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국제사회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점령지 병합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우크라이나군이 반격에 나서면서 4개 점령지에서는 지금까지도 치열한 교전이 이어지고 있다. 북한은 지난해 6월 러시아와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을 체결한데 이어 같은해 10월 1만명이 넘는 정예 병력을 러시아로 파병했으나, 현재까지는 러시아 쿠르스크주 일대에서만 작전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북한군의 우크라이나 본토 진입은 핵 프로그램에 대한 러시아의 지원을 끌어내려는 목적일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옥스퍼드 대학의 북한 전문가 에드워드 호웰은 영국 일간 더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이런 극단적 형태의 인력제공 대가로 자신이 가장 원하는 것, 미사일과 군사 관련 첨단 기술을 얻을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한편, 로이터 통신과 영국 소재 안보연구기관 오픈소스센터(OSC)는 북한은 2023년 9월 이후 최근까지 러시아에 컨테이너 1만6천개 분량의 탄약을 제공했으며, 우크라이나군 정보당국은 현재 러시아군이 발사하는 포탄 2발 중 1발이 북한제라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