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 산불피해 면적 9만㏊…당초 산림청 추산 2배↑

NDMS 입력값 기준 9만4천㏊ 산림 소실…강풍 속 야간 확산으로 진화·분석 모두 어려워
안동시 피해면적 가장 클 것으로 보여

22일 경북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 야산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한 가운데 안평면에서 의용소방 대원들이 주택으로 옮겨 붙은 불을 끄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22일 경북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 야산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한 가운데 안평면에서 의용소방 대원들이 주택으로 옮겨 붙은 불을 끄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경북 북동부권 5개 시·군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인한 산림 피해면적 규모가 산림당국의 추산보다 2배 이상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규모를 두고 논란이 일자 산림당국은 18일 피해면적을 공식 발표한다.

지난 15일까지 산불 피해를 입은 5개 시·군이 재난관리시스템(NDMS)에 자체 입력한 산림 피해면적을 합하면, 약 9만4천여㏊에 달한다. 안동이 약 3만4천여㏊로 가장 넓었고, 의성 약 2만7천㏊, 영덕 약 1만6천㏊, 청송 약 9천300㏊, 영양 약 6천800㏊ 등이다. 산림당국이 기존에 발표한 산불피해 영향구역 4만5천157㏊에 비해 2배 이상 규모다.

정확한 산림 피해 면적은 시·군 입력값을 토대로 경북도와 행정안전부 등 합동조사단 조사 등을 통해 확정된다. 정부는 향후 이를 바탕으로 정확한 피해규모와 복구액, 복구계획 등을 수립한다.

산림 피해면적이 2배 이상 '널뛰기'한 것은 산불이 가파르게 확산하면서, 진화 작업 중에 제대로 된 추산 피해면적에 대한 분석 등이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 진화 종료 이후에는 이재민 수용·지원 대책 마련, 사유재산·문화재 피해 확인 등에 집중한 것도 한몫했다.

통상적으로 산불진화 작업이 장시간 이어질 경우, 산림당국은 낮 시간대에 헬기 등 장비와 인력을 총동원해 진화한다. 헬기 투입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야간시간에는 민가 확산 저지를 위한 방화선 구축과 함께 다음 날 진화 계획 수립을 위한 산불피해 영향구역 확인·화선 분석 등이 이뤄진다. 이를 위해 야간에 드론 등을 투입한다.

다만, 이번 산불의 경우엔 초속 27m 강풍을 타고 야간에 집중적으로 번지면서 산불 발생 사흘째인 지난달 25일부터 산림당국은 제대로 된 산불피해 영향구역을 확인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시기 의성 안평면에서 발생한 산불이 안동 임하·길안면을 거쳐 청송·영양·영덕 등으로 확산했다. 당시 산림당국 관계자는 "진화인력도 철수하고 바람으로 인해 열화상 드론도 띄우기 어려워 (산불진화) 상황도 작성에 어려움이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후 산림당국은 산불 진화 하루 전인 지난달 27일 오후 매핑 드론과 적외선 탐지 비행기, 미항공우주국(NASA) 수오미 NPP 위성에 탑재된 가시적외선이미지센서(VIIRS) 등을 동원해 북부권 산불 화선 등을 작성해 공개하기도 했다.

경북도 관계자는 "진화 작업 중 정확한 산불피해 영향구역 등에 대한 공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었으나 당시 현장 기상상황, 산불의 빠른 확산 등으로 인해 정확한 집계가 이뤄지지 않은 측면이 있었던 것 같다"며 "산림청이 18일 이번 산불에 따른 산림 피해면적에 대해서 브리핑할 예정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산림청이 미국 VIIRS센서(S-NPP위성)활용해 지난달 27일 공개한 경북 산불 확산 위성사진. 산림청 제공.
산림청이 미국 VIIRS센서(S-NPP위성)활용해 지난달 27일 공개한 경북 산불 확산 위성사진. 산림청 제공.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