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경주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개최에 필요한 국비(國費) 확보가 불명확하다. APEC 지원 예산이 정부의 추가경정예산(추경)안에 확정되지 못했다. 정치권이 조기 대선(大選) 정국에 휩쓸리고 정부는 미국의 관세 폭격에 따른 대응에 부심하면서, APEC 준비가 소홀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정부는 12조원 규모의 추경안을 다음 주 국회에 제출한다. 이 추경은 재해·재난 대응, 통상·AI 경쟁력 강화, 민생(民生) 지원 등에 중점을 둔 것이라 APEC 예산은 일부만 포함될 것이란 얘기가 나돈다. APEC 예산이 이번 추경의 목적에 맞지는 않다. 그러나 지금은 이를 따질 때가 아니다. APEC 회의(10월 개최)가 코앞에 닥쳤는데, 예산은 턱없이 부족하다. 경주시·경북도가 정부에 요청한 APEC 예산 중 일부만 정부 본예산에 확보됐다. 이 바람에 급한 사업의 경우 경주시와 경북도가 예비비(豫備費)를 투입하고 있다. 앞서 경북도는 정부에 만찬장 조성, 숙박시설 정비 등에 필요한 국비 1천억원을 추가 요청했다.
APEC 정상회의는 외교·경제 차원에서 중요한 국제 행사다. 21개 회원국 정상과 정부 대표단, 기업인, 기자단 등이 경주에 집결한다. 경주는 물론 대한민국의 브랜드 가치를 키울 수 있는 기회다. 정부는 지난달 APEC 회의를 통해 관광·수출의 성장과 내수(內需)를 견인하는 '경제 APEC' 구상을 제시했고,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도 APEC의 경제적 파급 효과 극대화를 약속했다.
이런 계획이 결실을 거두려면 APEC 회의를 멋지게 치러야 한다. 그런데 상황이 여의치 않다. 국비 지원은 원활하지 않고, 대선 정국으로 APEC 관심이 떨어질 수 있다는 걱정이 많다. 지난 7일 열린 국회 APEC 특위에서 의원들은 정부와 경북도의 허술한 준비를 지적하기도 했다. 시간이 많지 않다. 예산 확보가 급선무(急先務)다. 이번 추경에 APEC 예산을 반드시 반영해야 한다. APEC 특위, 국회 예산결산특위, 대구경북 국회의원들의 역할이 중요하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
이재명 "대구·경북의 아들 이재명, TK 재도약 이끌겠다"
헌재재판관 지명 위헌 논란…한덕수 대행 역풍 맞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