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국, 1분기 대미 무역흑자 작년 수준 유지…트럼프 통상 압박 속 '선방'

올해 1∼3월 한국 대미 무역수지 흑자 133억8천만달러

미국의 상호관세가 발효된 9일 경기도 평택항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미국 정부는 지난 5일 10%의 기본 상호관세에 이이 이날 0시1분부터 한국을 비롯해 80여개 국가에 대해 최소 11%에서 최고 50%의 국가별 상호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한국에서 미국으로 수출되는 모든 물품에는 일단 25%의 관세가 붙게 돼 수출 중심 경제체제로 미국시장의 비중이 큰 한국은 대미 수출에 비상이 걸렸다. 연합뉴스
미국의 상호관세가 발효된 9일 경기도 평택항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미국 정부는 지난 5일 10%의 기본 상호관세에 이이 이날 0시1분부터 한국을 비롯해 80여개 국가에 대해 최소 11%에서 최고 50%의 국가별 상호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한국에서 미국으로 수출되는 모든 물품에는 일단 25%의 관세가 붙게 돼 수출 중심 경제체제로 미국시장의 비중이 큰 한국은 대미 수출에 비상이 걸렸다. 연합뉴스

한국이 올해 1분기에도 대미 무역수지 흑자를 안정적으로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무역적자 해소를 명분으로 고율 관세 정책을 본격화한 가운데서도, 한국의 대미 흑자 흐름은 큰 변동 없이 이어지고 있다.

19일 한국무역협회 자료에 따르면, 올해 1∼3월 한국의 대미 무역수지 흑자는 133억8천만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의 132억2천만달러보다 소폭 증가한 수치다. 지난해 연간 흑자 규모(556억3천만달러)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데 이어, 올해도 비슷한 기조를 유지하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품목별 수출 실적을 보면 상황은 녹록지 않다. 자동차(-11.2%)와 철강판(-26.5%)을 비롯해 기타기계류(-50.9%), 건설기계(-29.4%) 등 주력 수출 품목이 일제히 감소세를 보였다. 전체 대미 수출도 전년 동기 대비 2.0%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무역수지 흑자가 유지된 배경에는 수입 감소가 더 큰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수출 감소에도 수입이 더 큰 폭으로 줄어든 덕분에 전체 무역수지는 작년과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전문가들은 올해 초까지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가 본격적으로 시행되지 않았던 점과, 관세 인상 가능성에 대비해 미국 바이어들이 선제적으로 수입을 늘린 점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미국 상무부 자료에 따르면 한국은 미국의 9번째 무역적자국이다. 이에 따라 트럼프 정부는 한국을 포함한 적자국을 대상으로 관세 인상과 같은 압박 조치를 강화하고 있다.

정부는 다음 주부터 미국과 고위급 협상에 돌입할 계획이다. 협상에서는 가스, 원유, 농산물 등의 대미 수입을 확대하는 한편, 국내 수출품의 미국 현지 생산을 늘리는 방안을 동시에 추진해 무역 불균형 완화의 로드맵을 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