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악성 미분양' 80% 지방 집중…전국 2만3천가구, 11년래 최다

대구경북 미분양만 5,500가구 넘어…건설사 연쇄 부실 우려

지난달 중순 대구 서구의 한 아파트 단지에 할인분양 현수막이 내걸린 모습. 매일신문 DB
지난달 중순 대구 서구의 한 아파트 단지에 할인분양 현수막이 내걸린 모습. 매일신문 DB

정부의 지방 미분양 주택 매입·지원 정책이 무색하리만큼 전국 '악성 미분양'이 계속 늘어나 11년 5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2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월 말 기준 전국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3천722가구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1만1천867가구)과 비교해 99.9%(1만1천855가구), 전달(2만2천872가구)보다는 6.1%(1천392가구) 늘었다. 이는 2013년 9월(2만4천667가구) 이후 11년 5개월 만에 최대 규모다.

지방의 악성 미분양은 전체의 80.8%인 1만9천179가구에 달했다. 다 짓고도 팔리지 않은 아파트 10채 중 8채는 지방에 있다는 뜻이다. 지역별로는 '미분양 무덤'이라 불리는 대구가 3천67가구로 가장 많았다. 전체 물량의 12.9%에 달하는 양이다. 경북이 2천502가구, 경남 2천459가구, 전남 2천401가구, 부산 2천261가구 등이 뒤를 이었다. 대구경북을 합치면 전국의 23.4%(5천569가구)를 차지했다.

전국 17개 시도 중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악성 미분양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울산(312.9%)이었다. 경북(216.7%), 대구(182.7%), 인천(182.0%), 전북(171.8%), 충북(161.6%) 등도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전년 대비 증가율은 지방(100.2%)이 수도권(98.82%)보다 커 지방의 악성 미분양이 더욱 빠른 속도로 늘어나는 모양새다.

전체 일반 미분양은 7만61가구로 1년 전과 비교해 8.0%(5천187가구) 늘었다. 다만 전달과 비교하면 3.5%(2천563가구) 줄었다.

준공 후 미분양은 건설사의 자금 회수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며, 건설업 전반의 유동성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 최근 수개월 사이 법원에 기업회생을 신청한 삼정기업(부산), 대저건설(경남), 제일건설(전북), 대흥건설(충북) 등은 모두 지방의 대표 건설사들이다.

이렇듯 미분양 문제가 심각해지자 정부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를 통해 준공 후 미분양 주택 약 3천 가구를 매입하고, 디딤돌 대출 우대금리를 지원하는 등 지원책을 내놨다. 그러나 이 같은 정책이 시장에서 실제 효과를 발휘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전망인 데다 누적 물량이 많은 지방 시장의 구조적 침체까지 해소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LH의 매입은 심폐소생술 정도이고 근본적인 수요, 시장이 살아나야 하는데 현재 정치적인 불확실성까지 더해져서 (침체가) 장기화하고 있어 당장 해결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