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북동부 5개 시·군을 덮친 초대형 산불 탓에 여름철 집중호우에 따른 산사태 위험이 급격하게 높아지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20일 산림당국에 따르면 산불 피해를 입은 산림은 나무뿌리와 유기물이 사라져 일반 산림보다 산사태 가능성이 10배에서 최대 200배까지 높아진다고 밝혔다. 산비탈 아래 주택과 과수원 등은 장마철에 산사태에 따른 2차 피해 가능성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더욱이 최근 우리나라는 동남아시아처럼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이 퍼붓는 '스콜성 집중호우'가 빈번해지는 탓에 산불 피해 주민들의 우려도 급격히 높아지고 있다.
허모(42·의성군 점곡면 구암리) 씨도 "비가 오니까 밭 주변 고랑에 물이 고였다"며 "마을 주민들이 다 산사태 걱정을 한다. 풀이 없고 땅도 바싹 말라 굉장히 위험한 상태"라고 했다.
산림청은 최근 '산불피해지 긴급진단팀'을 구성해 ▷경북 5개 시·군(의성·안동·영양·청송·영덕)을 비롯해 ▷울산 울주군 ▷경남 산청·하동 등지에 긴급 투입했다.
진단팀에는 산사태 전문기관인 한국치산기술협회와 민간 전문가가 포함됐다. 진단팀은 산불 피해 지역의 위성 영상과 드론 촬영을 통해 피해 강도와 지형의 불안정성을 분석하고 있다. 또 인근에 민가와 공공시설이 위치한 생활권을 중심으로 현장 조사도 진행해 응급 복구 대상지를 선정할 계획이다.
실제 지난 2005년 산불이 발생한 전북 남원의 산지를 5년 뒤 조사한 결과 산사태 발생률이 일반 산림보다 200배 이상 높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산림청은 ▷응급 복구 ▷연내 복구 ▷항구 복구 단계로 복구 전략을 수립 중이다. 산지 사방사업과 피해목 제거, 주민 안전 교육 등도 병행하고 있다. 조림사업 외에도 산사태 취약지를 중심으로 사방댐 등 구조물도 계획하고 있다.
이기환 국립산림과학원 산사태연구과 박사는 "산불 피해지는 산림의 산사태 방지 기능이 무력화되며 1~5년 사이 위험도가 급격히 높아진다"며 "급경사지 아래 주택이나 농경지가 있는 곳은 장마 전 응급복구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경고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