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질병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건보공단)은 의료 방사선 적정 이용체계를 비롯 감염병, 만성질환 등 건강정보 빅데이터의 효과적인 연계와 활용 방안에 관한 업무협의를 진행했다고 21일 밝혔다.
양 기관은 업무협의를 통해 건강보험 청구 자료를 바탕으로 엑스레이, CT 등 의료 방사선의 노출량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안전한 검사 환경을 만들기 위한 정책 수립에 활용하기로 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국민 1인당 엑스레이나 CT 등 의료 방사선 검사 건수는 2020년 5.9건에서 2021년 6.4건, 2022년 6.8건, 2023년 7.7건으로 빠르게 늘고 있다.
아울러 양 기관은 오는 9월 결핵 빅데이터(K-TB-N)를 개방할 예정이다. 앞서 이들 기관은 2021년 4월 빅데이터 협력에 관한 업무협약을 하고, 코로나19 빅데이터(K-COV-N)를 공동으로 구축·개방해 현재까지 총 36건의 연구성과를 낸 바 있다.
인플루엔자(독감) 유행에 대응하고자 감염병 감시부터 백신 효과 평가, 의료 이용 현황 등을 담은 정기 보고서도 공동 발간한다. 이 보고서는 예방 접종 정책과 건강보험 제도 개선에 중요한 근거 자료로 쓰일 수 있다.
이와 함께 국가건강검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건강검진 결과와 진료 데이터를 연계해 분석하고, 대표적인 만성 질환 중 하나인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 정보(KOCOSS)와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KoGES) 데이터를 건강보험 빅데이터와 연계해 유전 정보·생활 습관·환경 요인 등을 분석할 계획이다.
정기석 건보공단 이사장은 "기존 코로나19 중심 데이터 분석에서 협력범위가 확대된 만큼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기반이 질적으로 강화될 것"이라며 "국민의 건강증진과 질병예방, 적정진료 유도, 의료의 질 향상 등 근거 중심의 정책 개선에 많은 성과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국내 건강정보를 가장 폭넓게 보유한 두 기관이 협력함으로써 감염병과 만성질환 등에 데이터 기반 정책이 한층 강화될 것"이라며, "이를 통해 향후 팬데믹과 같은 위기 상황에서도 더 빠르고 과학적인 대응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