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가 21일 포항을 찾았다.
한 후보는 이날 포스텍 등 5개 이과대학 총학생회가 공동 마련한 '2025 대학생 과학기술 정책 포럼'에 참석해 약 80명의 학생들과 환담을 나눴다.
한 후보는 과학의날을 맞아 마련된 이날 자리에서 학생들의 추천을 통해 연사에 선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변재섭(22·포스텍 신소재공학과 3년) 씨는 "평소 R&D 예산 문제와 청년들에 대한 정책을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장관까지 지내셨던 한 후보에게 직접 묻고 싶은 마음에 이 자리에 오게 됐다"고 했다.
이날 한 후보는 제일 먼저 정부의 R&D 예산 삭감을 학생들에게 사과하며 말문을 열었다.
한 후보는 기조연설을 통해 "R&D 삭감에 여기 학생들이 어떻게 생각했을지 궁금하다. 저는 막으려 했는데 제가 나서서 막을 수 있었던 것이 없었다"면서 "R&D 예산 삭감은 잘못된 것이었다.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 그렇게 해서는 안되는 것이었다 생각한다"고 전했다.
또한, "R&D는 실패를 기다려 줘야 한다. 연구개발이 실패하더라도 그것이 예산 집행의 실패는 아니다. 연구가 중단없이 이어질 수 있도록 오히려 투자를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AI와 AX 등 우리는 산업혁명과 같은 변화의 시대를 목도하고 있다. 거기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면 조선 말기 때처럼 정말 큰 문제를 겪게 될 것"이라며 "혁신에 어떻게 대응하느냐는 정치의 몫이다. 큰 책임을 느끼고 집중적인 투자를 생각하고 있다"고 했다.

특히, 한 후보는 AI 시대 집중 투자를 위해 제2의 박정희 정책 기조를 예시로 들며 관심을 끌었다.
한 후보는 "극단적인 변화에 대처하고 투자를 집중하기 위해서는 박정희 시대의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AI 등 과학기술 개발을 위한 100개년 계획을 세우고 싶다"면서 "철권통치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그만큼 확고하고 일관적인 정책 기조가 필요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강조했다.
이후 한 후보는 한 1시간 정도 학생들과 AI 개발을 위한 전력 수급 문제, 과학기술 예산 정책 방향, 인재 개발, 청년 인구 감소, 국민연금 문제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질의응답을 나눴다.
끝으로 한 후보는 "저는 과학에 대해서는 여기 학생분들 보다 당연히 모른다. 머리는 빌리는 것"이라며 "제가 할 수 있는 공부와 지식을 쌓고 전문적인 정책을 세우기 위해 여러분들의 머리를 빌리고 싶다. 이후 확고한 방향성을 가지고 정책의 일관성을 끌어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한 후보는 이날 포항 죽도시장과 효자시장을 잇달아 찾으며 상인들과 인사를 나누고 경제 정책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기도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