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과 10일 뒤인 5월 2일(금)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대다수 직장인이 쉬는 5월 1일 근로자의날(노동절)과 주말(5월 3, 4일) 사이에 끼어있는 것은 물론, 그 다음 부처님오신날이자 어린이날인 5월 5일, 두 공휴일(부처님오신날과 어린이날)이 겹친 데 따른 대체휴일인 5월 6일까지 연휴가 이어지면서, 5월 2일 하루만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경우 최대 6일의 황금연휴가 만들어질 수 있어서다.
이 경우 연휴 계획을 미리 짜고 각종 예약을 해야 하는 국민들은 불과 열흘 전인데 아직까지 정부의 임시공휴일 지정 발표가 나오지 않아 시선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
▶임시공휴일 지정을 위해 정부는 상당수 사례에서 '경제 활성화', 정확히는 '내수 진작'을 근거로 내세웠다.
임시공휴일의 혜택은 직장인이 받게 마련인데, 이에 직장인에게는 하루 휴식을 주고 이때 국내 여행과 외식 등의 활동이 이뤄질 경우, 쉬지 못하는 상인들도 웃을 수 있다는 얘기다.
▶이에 내수 진작을 이유로 지정된 임시공휴일 사례가 최근 잇따랐다.
우선 올해만 해도 설 연휴가 1월 28·29·30일(화·수·목)이었는데, 이에 1월 27일(월)을 임시공휴일로 지정, 엿새의 황금연휴가 만들어졌다.
이때 임시공휴일은 13일 전이었던 올해 1월 14일 정부가 국무회의에서 지정했다.
지난 2024년 10월 1일(화) 국군의날도 비슷한 근거가 곁들여졌다. 뒤의 숫자가 0으로 떨어지지도 않는 건군 '76주년' 국군의날이었고, 화요일이어서 앞의 월요일과 뒤의 수요일은 평일이라 징검다리를 메꾸는 것도 아니었던 터라 특이 사례다.
그럼에도 하루 휴일이 생겨 반기는 국민 여론이 나타났고, 야무지게 전날인 9월 30일(월)에 연차를 써서 그 앞 주말과 연결시켜 나흘 짜리 연휴를 즐기거나, 개천절(10월 3일)과 사이의 10월 2일에 연차를 써서 사흘 짜리 연휴를 즐긴 직장인들도 있었다.
최근에는 너무 긴 연휴가 임시공휴일로 인해 만들어지는 경우, 해외여행을 선택하는 인구가 늘어 국내에서 돈을 쓰는 내수 진작 효과는 오히려 감소한다는, 차라리 평일인 게 더 낫다는 상인·자영업자들의 주장이 나오기도 했는데, 지난 국군의날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우 연차를 써서 연휴를 만들지 못한 사람들이 외출정도를 많이 선택, 이게 실질적인 내수 진작 효과를 만들었다는 얘기도 전해진다.
이때 임시공휴일은 약 한 달 전이었던 2024년 9월 3일 정부가 지정했다.
▶이처럼 한달정도 전에서 최소 약 2주정도 전에는 국무회의 임시공휴일 지정 의결 소식이 나왔다. 지정 관련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고 정부 관계자나 여당 국회의원이 언론에 '흘린' 데 따른 보도는 그보다 앞서 나오는 게 통상적이었다.
하지만 5월 2일 임시공휴일 지정에 대해서는 열흘 전인 4월 22일 현재 별다른 소식이 없는 상황이다.
미리 임시공휴일 지정 발표가 나오지 않으면, 미리 여가·여행 계획을 못짜는 국민들의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은 물론, 역시 미리 관련 예약을 받아 준비를 해야하는 특성의 내수 업종은 큰 효과를 얻기 힘들 수 있다.
▶시기 역시 따져볼 부분이다.
설과 추석 연휴 때 하루만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면 최대 10일의 연휴(2017년 추석)가 만들어지는 등 명절 사례는 많다. 그러나 5월 가정의달 임시공휴일 지정 사례는 역대 1차례 뿐이다.
바로 9년 전인 2016년 5월 6일(금)이다. 당시 5월 5일(목) 어린이날과 5월 7·8일(토·일) 주말을 연결시켜 나흘 연휴를 형성했다.
이때와 비교하면 올해는 더 긴 엿새 연휴를 만들 수 있는 타이밍으로 평가된다.
▶또한 오는 6월 3일 치러지는 조기 대선(21대 대통령 선거)을 염두에 둔 정치적 해석도 곁들여 지정 가능성을 따져봐야 한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가 그가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5월 2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한 후 이에 따른 여론의 호감도 상승을 배경 삼아 대선 출마 선언을 할 것이라는 정가의 '썰'이다.
이 경우 권한대행 체제에서 임시공휴일을 지정하는 2번째 사례가 만들어진다. 올해 1월 27일 임시공휴일 지정은 최상목 당시 권한대행이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처리했다.
다만, 6월 3일 대선일 역시 임시공휴일로 지정됐기 때문에, 두 달 연속 임시공휴일 지정 사례는 없었던 걸 감안, 정부가 부담을 느끼고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