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21대 대선 경선 후보 '4강 대진표'가 22일 확정되면서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을 둘러싼 찬반 논란이 다시 불붙을 것으로 보인다. 당 일각에선 이 같은 양상이 당의 경선 흥행을 저해하고 대선 후보 경쟁력을 갉아먹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정치권에서는 윤 전 대통령 탄핵 반대(김문수·홍준표)와 찬성(안철수·한동훈) 간 2대 2 구도가 형성되면서 찬반 논란은 더욱 뚜렷해질 것이라는 관측이다.
1차 경선 때는 역선택 방지 조항이 있긴 했으나 국민여론조사 100%로 평가가 이뤄진 반면, 2차 경선부터는 선거인단 투표와 국민여론조사가 50%씩 반영되기에 해당 사안에 대한 확고한 주관을 가진 유권자가 늘어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지난 20일 있었던 1차 경선 토론회 B조가 2차 경선의 '미리보기'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당시 홍준표, 이철우, 나경원 후보 등 윤 전 대통령 탄핵에 반대해 온 이들과 한동훈 후보 사이에 설전이 펼쳐진바 있다.
한 후보는 "비상계엄은 불법이라고 봤기 때문에 앞장서서 막았다"면서 "계엄은 반대하지만 경미한 과오일 뿐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넓은 의미에서는 계엄 옹호"라며 다른 후보들을 비판했다. 반면 다른 후보들은 한 후보가 그런 말을 할 자격이 없다는 식의 날선 반응을 보였다.
홍 후보는 22일 한 유튜브 방송에 출연, 한 후보를 '배신자'로 규정하며 강도 높게 비난했다. 그는 '12·3 비상계엄'과 관련해 "민주당의 의회 폭거로 되는 일이 없었고 또 한동훈 (당시) 대표가 대통령과 협력해서 국정을 안정시켰어야 하는데, 사사건건 반대하고 깐죽거리니까 대통령으로서는 돌파구가 있었겠나"라고 했다.
정치권에서는 국민의힘 경선 과정에서 12·3 비상계엄이나 윤 전 대통령 탄핵 이슈에 이목이 쏠리는 현상은 '자승자박'이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국민의힘 한 관계자는 22일 "이런 공방은 소모적일 수 밖에 없다. 입장이 선명하게 드러날수록 전통 지지층이나 중도층 중 한쪽에서 표가 떨어져 나간다. 보다 건설적인 논의가 있어야 경선도 흥행하고 본선 경쟁력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