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전쟁과 관련해 한국 지도부가 미국과의 '2+2 통상협의'에 나선 가운데 긍정적인 성과를 달성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각각 미국으로 향하며 한미동맹을 다지고 관세 부과로 인한 산업계 피해를 해결하겠다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안 장관은 23일 오전 인천 공항에서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리는 한미 '2+2' 고위급 통상 협의에 참석하기 위해 출국하기 전 "25% 품목별 관세가 부과돼 산업계가 큰 피해를 입고 있는 자동차 분야에 대해서는 (2+2 협의에서) 최대한 신속하게 해결책을 마련하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차분하고 신중하게 협상에 임하겠다"고 밝혔다.
안 장관은 이번 '2+2 협의' 목표로 무역 불균형 문제 해결과 한미 조선·에너지 산업 협력을 꼽았다. 그는 "무역 불균형 문제와 조선 산업 협력, 에너지 협력 등 산업 협력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라며 "양국이 향후 이 협력을 이어갈 수 있고, 향후 리딩(이끌어갈)할 수 있는 협의 토대를 구축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번 한미 2+2 고위급 협의에는 기획재정부와 산업부 외에도 외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토교통부, 환경부, 농림축산식품부, 보건복지부 등 관계부처도 합동 대표단에 함께 한다.
안 장관은 현지에서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별도의 협의도 진행할 예정이다. 안 장관은 "그동안 실무 차원에서 협의하면서 비관세 문제에 대해 협의해 왔는데, 이번 협상에서 보다 내실 있는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이번 '2+2 협의'에 트럼프 대통령의 깜짝 등장 가능성도 점쳐진다. 안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만남이 있을 가능성에 대해서도 열어 놓고 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이 오는 10월부터 외국산 자동차 운반선에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한 데 대해서는 "USTR과 협의할 예정인데, 여러 양국 간 교역에서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는 원만한 해결책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22일(현지시간) 오전 워싱턴DC 인근 덜레스 국제공항을 통해 미국에 입국한 최 부총리는 취재진과 만나 "한미동맹을 더욱 튼튼하게 하기 위한 논의를 시작하러 왔다"고 설명했다.
최 부총리는 한미 통상협의에 임하는 각오에 대해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그(협의) 결과는 목요일(24일)에 말씀드리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일단은 미국 측 관심 사항을 경청하고, 우리 입장도 적극적으로 설명할 예정"이라며 "그러면 서로에게 도움이 되고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으니 그렇게 노력하려 한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