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자율주행 시대를 여는 캠퍼스…계명대, 산학협력단지 조성 첫 출발 '오픈캠퍼스 데이'

산학연협력단지 첫 성과 발표…입주기업과 실질적 협력 시동
107억 원 투입해 미래모빌리티 중심지로…R&D·인재 양성 박차

계명대는 23일 모빌리티캠퍼스에서 오픈캠퍼스 데이 행사를 개최했다. 계명대 제공
계명대는 23일 모빌리티캠퍼스에서 오픈캠퍼스 데이 행사를 개최했다. 계명대 제공

계명대학교(총장 신일희)가 지난 23일 대구 달성군 모빌리티캠퍼스에서 '오픈캠퍼스 데이(Open Campus Day)' 행사를 열고, 산학연협력단지 조성사업의 본격적인 출발을 알렸다.

이번 행사는 모빌리티캠퍼스를 기반으로 입주기업들과의 실질적인 협력을 추진하기 위한 첫 성과로, 지역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실질적 기반을 마련했다.

이날 행사에는 1차년도 입주기업과 2차년도 예정 기업, 계명대 교수진 등 40여 명이 참석했다. 행사는 김응호 교수의 산학연협력단지 사업 소개를 시작으로, 정어흥 신용보증기금 수성지점 부지점장의 자금조달 및 투자 전략 특강, 이태훈 교수의 입주기업 안내 및 지원 방안 소개, 정찬복 교수의 모빌리티캠퍼스 투어로 이어졌다.

특히 글로벌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인 FPT 코리아 김정태 이사는 "SDV(Software Defined Vehicle)의 부상에 따라 계명대와의 협력은 인재 양성과 기술 개발에 큰 시너지를 낼 것"이라며 "입주 기업 간의 연대를 통해 지속 성장 가능한 모델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계명대는 이번 조성 사업에 107억3천만원을 투입해, 2029년까지 산학연 협력 기반을 단계적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주요 추진 내용으로는 ▷전기차 모터 기반 소부장 특화 인력양성 ▷RISE 연계 현장캠퍼스 운영 ▷대학-기업 공동기술개발 ▷재직자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등이 포함된다.

김범준 산학부총장(산학연협력단지사업단장)은 "이번 오픈캠퍼스 데이를 통해 입주기업과의 협력 기반을 마련한 것은 중요한 첫걸음"이라며 "계명대 모빌리티캠퍼스를 산학연 상생 생태계의 중심지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계명대는 대구시 5대 신산업과 연계한 미래모빌리티 중심 캠퍼스로의 발전을 목표로 지난해 1월 모빌리티캠퍼스 조성을 출범했으며, 향후 6년간 교육·연구·기업복합 공간 및 도심항공교통(UAM)용 버티포트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 사업은 2023년 교육부의 '대학 내 산학연협력단지 조성사업' 대상 학교로 계명대를 포함해 4개 대학이 선정되며 추진되고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