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중앙윤리위원회가 지난해 말쯤 '한동훈'이란 이름의 작성자가 당원게시판에 올린 윤석열 전 대통령 비방 글 수백 개에 대한 당원들의 징계 요청을 불문(不問) 종결한 것으로 뒤늦게 확인됐다. 불문 종결이란 쉽게 말해 조사하지 않고 사건을 덮었다는 것이다.
24일 매일신문 취재에 따르면 국민의힘 윤리위는 지난해 12월쯤 당원게시판 욕설 사태를 불문으로 종결 처리했다. 지난해 11월 당원들이 징계개시 요청서를 제출한 지 한 달만의 일이었다.
조사 범위를 정하기가 어렵고 징계 기준을 책정하기 어려워서였다. 당시 윤리위원장이었던 신의진 전 국민의힘 의원은 매일신문과의 통화에서 "(한 전 대표 측과 윤 전 대통령 측이) 서로 비방하는 게 서로에게 도움이 안 되고 증명할 수 있는 것도 별로 없어서 종결 처리했다"며 "당원게시판뿐만 아니라 다른 곳에서 올라온 양측 비방 관련 징계요구안까지 한꺼번에 모두 다 없애는 것으로 종결했다"고 했다.
"증명은 수사기관에 넘기면 되는 것 아닌가"라는 질문에 신 전 의원은 "한 사람이 비슷한 내용으로 많이 올린 것을 징계 처리하자니 비슷한 내용을 한두 개 올린 사람도 징계해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며 "그러면 조사 대상이 너무 많아졌다. 그럴 수 없어서 모두 일괄 종결 처리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다만 국민의힘 일각에선 신 전 의원이 한 전 대표와의 관계를 고려해 이 사건을 덮은 것 아니냐는 반응도 나왔다. 한 국민의힘 관계자는 "윤리위가 이 사건을 당무감사로 넘기는 건 고사하고 비상계엄으로 어수선한 틈을 타 사실상 '셀프 사면'한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신 전 의원이 한 전 대표가 당 대표이던 지난해 8월 국민의힘 최고위원회를 거쳐 중앙윤리위원장으로 임명돼서다.
이른바 '당원게시판 사태'로 불리는 이 사건은 지난해 11월5일 국민의힘 당원게시판에 한 전 대표와 그의 일가 이름으로 윤 전 대통령을 비방하는 글이 다수 확인돼 발생한 논란을 말한다. 당시 발견된 한 전 대표와 한 전 대표 모친, 아내, 딸, 장인, 장모의 이름으로 작성된 글은 약 1천개에 달했다. 대부분은 사설과 신문기사, 정치적 견해 표명 글이었지만 일부에는 윤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에 대한 원색적인 비난도 담겨 있어 논란이 됐다.
당시 국민의힘 당원게시판은 익명게시판이라 게시자의 이름이 '○**'처럼 성만 보였다. 다만 검색창에 특정인 이름을 입력하면 검색한 이름의 사용자가 작성한 과거 글이 전부 검색이 됐다. 쉽게 말해 '한동훈'이란 이름으로 글을 올리면 '한**'으로 보이지만 검색창에 '한동훈'을 입력하면 '한동훈'이란 작성자가 올린 모든 글이 검색되는 체계였다. 이에 일부 당원들은 지난해 11월 "우연이라고 보기엔 한 전 대표 가족 이름이 모두 검색되는 게 말이 안 된다"며 조사를 촉구하는 징계안을 당에 접수했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