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 티 나는 번호판'이 오히려 더 잘 팔리고 있다.
정부가 법인 명의 고가 차량에 '연두색 번호판'을 달도록 한 지 1년, 과시를 억제하겠다는 취지와는 달리 초고가 수입차 판매는 되레 급증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25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1~3월) 1억5,000만 원 이상 고가 수입차 판매량은 총 8,184대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무려 78.5% 증가한 수치다.
가장 눈에 띄는 브랜드는 페라리다.
지난해 1분기에는 이 가격대 차량이 한 대도 팔리지 않았지만, 올해는 무려 104대가 출고됐다. 람보르기니(169%), 포르쉐(202%), 렉서스(314%) 등 고가 브랜드 전반에서 판매량이 크게 늘었다. BMW(114%), 아우디(140%), 랜드로버(63%) 역시 두 자릿수 이상 성장세를 보였다.
초고가 신차도 등장과 동시에 '완판' 행렬을 이어갔다. 출고가 1억6,000만 원 이상인 캐딜락 신형 에스컬레이드는 판매 개시와 동시에 3개월치 물량이 모두 소진됐다.
정부는 지난해부터 출고가 8,000만 원 이상 법인차량에 연두색 번호판 부착을 의무화하고 있다. 법인차의 사적 이용을 줄이고 세제 혜택 남용을 막기 위한 제도다. 도입 초기에 나타났던 일시적인 수요 감소는 불과 1년 만에 반등했다. 고가 수입차 시장은 연두색 번호판을 전혀 꺼리지 않는 분위기로 전환됐다.
한 수입차 업계 관계자는 "연두색 번호판이 더 이상 부담이 아니라, 오히려 '재력의 인증'처럼 받아들여지는 분위기"라며 "지난해와는 소비자 반응이 확연히 다르다"고 전했다.
일각에선 사회적 감시 기능에만 의존한 제도의 한계가 드러났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연두색 번호판을 단 모든 법인차를 부정적인 시선으로 보는 현상도 문제"라며 "취지와 실효성 사이에서 균형을 잡을 수 있는 보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
[단독] 국민의힘, '한동훈 명의 당원게시판 사태' 덮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