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투자자가 이번 달에도 국내 주식시장을 떠나고 있다. 이달 들어 외국인 투자자들은 코스피를 10조원 가까이 순매도해 외국인 지분율이 30% 초반까지 떨어졌다.
다만, 관세와 실적 등 국내 주시시장 투자심리를 억누르던 우려가 해소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외국인 재 유입 시점에 관심이 몰린다.
2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25일까지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외국인 투자자의 순매도액은 9조7천938억원이다.
남은 3거래일 동안 이같은 상황이 지속될 경우 외국인은 9개월 연속 순매도를 기록, 월간 순매도 규모로 2위를 차지할 것으로 우려된다.
코스피 시자에서 외국인 순매도액이 가장 많았던 시기는 코로나19 직후인 2020년 3월(12조5천550억원)이다.
순매도 기간도 역대급이다. 지난 2007년 6월부터 2008년 4월까지 11개월 동안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최장 기록이다.
지난해 7월 말 35.65%였던 코스피 시가 총액 기준 외국인 지분율은 지난 24일 기준 31.52%까지 떨어졌다. 지난 2023년 8월 30일 이후 최저 수준이다.
이 기간 동안 외국인 누적 순매도액은 38조9천354억원이다. 이 가운데 24조4천349억원은 삼성전자 순매도액이다. 2조888억원의 순매도가 발생한 현대차와 12배 가까운 차이를 냈다.
이로 인해 외국인 주식 보유율이 56.48%에서 50.00%로 낮아졌다. 지난 2월에는 50% 아래로 떨어지기도 했다.
증권가에서는 외국인 수급 회복을 전제로 한 투자 전략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경수 하나증권 연구원은 "최근 원화 강세가 외인 수급 유인을 야기하고 있으며 외인 수급 개선 국면에서는 가치주가 가장 유리하다"고 조언했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외국인 순매수 재개는 여부가 아닌 시간 문제"라며 "현시점에서 외국인이 수급의 키를 쥐고 있다. 이들이 한동안 매도세로 일관했던 상사, 자본재, 조선 등에 순매수 기조로 전환하고 있다는 점을 미루어보아 외국인은 이번 실적발표 기간에서 이익 가시성이 높은 수주 중심의 산업군에 베팅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댓글 많은 뉴스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
[단독] 국민의힘, '한동훈 명의 당원게시판 사태' 덮었다
文뇌물죄 기소에 "부동산 정책 실패하고 사위엔 특혜?" 국힘 일갈
이재명 대권가도 꽃길? 가시밭길?…대법원 재판 속도전 의견 분분
文, 뇌물죄 기소에 "터무니없고 황당…尹 탄핵에 대한 보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