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분쟁 심화로 한국 수출기업 과반은 공급망 악화를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의 '트럼프 2기, 미국과 중국의 수출통제에 따른 우리 기업의 공급망 리스크 인식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53.4%는 트럼프 2기 이후 글로벌 공급망 조달 여건이 작년보다 '악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기업 규모별로 공급망 여건 악화를 전망한 비율은 중견기업(55.1%)과 중소기업(53.5%)이 대기업(36.8%)보다 1.5배 안팎으로 높았다.
업종별로 보면 가구 및 인테리어(76.9%), 섬유 및 의류(65.4%), 2차전지(63.9%),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60.7%), 가전 및 스마트 디바이스(59.4%), 화학 및 석유화학(56.4%), 기계 및 장비(56.2%), 철강 및 금속(55.8%), 전기차 및 수소차(54.5%) 등 기업의 공급망 우려가 컸다.
수출 기업의 79.6%는 미국의 무역 제재에 따른 공급망 위기에 대해 '심각하다'(매우 심각 30.9%·조금 심각 48.8%)고 답했다. 42.4%가 중국의 원자재 수출통제로 인한 공급망 위기에 대해 '심각하다'(매우 심각 11.8%·조금 심각 30.7%)고 답한 것을 고려하면, 기업들은 '미국발 리스크'를 '중국발 리스크'보다 더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트럼프 2기, 미국의 제재에 따른 공급망 조정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65.8%로, 중국 제재에 따른 공급망 조정 필요성(30.3%)을 언급한 응답보다 2배 이상 높았다.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등 무역 제재와 관련해 공급망 피해가 있거나 예상된다고 응답한 수출 기업은 83.1%에 달했다. 기업의 73.0%는 중국의 수출통제에 따른 공급망 피해·영향도 함께 우려했다.
하지만 수출 기업의 절반 이상(51.8%)은 공급망 위기에 대한 대응 계획을 수립하지 못했거나 대책이 없다고 답했다. 정부가 시행하는 공급망 지원 정책을 활용하고 있다는 기업은 17%에 그쳤다.
댓글 많은 뉴스
문형배, 尹 파면 후 "대통령·국회 갈등 해결 방도 없어"
이재명 "수도권 주요 거점을 1시간 경제권으로 연결"
안철수 "한덕수는 출마 포기, 김문수·한동훈은 결단해야"
[단독] 국민의힘, '한동훈 명의 당원게시판 사태' 덮었다
민주당 대선 후보 이재명 확정…TK 출신 6번째 대통령 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