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 대선에서 지역 현안(懸案)을 공약화(公約化)하려는 광역지자체들의 경쟁이 치열하다. 이와 별도로 대선 주자들과 정당들이 선제적으로 지역별 공약을 제시하기도 한다. 대선은 지역의 숙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그러나 대구경북(TK)은 부산 등 다른 지자체에 비해 대선 공약화 속도가 떨어지고, 대선 주자들의 관심을 끌어내지 못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대구시는 지난 24일 '대통령 선거 지역 공약 사업'을 발표했다. 총사업비 82조원 규모의 ▷국가 균형발전을 견인(牽引)하는 TK신공항 중심 남부 거대 경제권 조성 ▷미래 신산업 전환 ▷시민이 풍요로운 대구 ▷도심 공간 재창조 등 4대 분야 23개 사업이다. 이보다 앞서 부산시는 21일 글로벌허브도시 특별법 제정, 산업은행 이전, 가덕도신공항 2단계 확장 등 총사업비 140조원 규모의 사업을 제시했다. 경남도, 광주시, 충북도 등도 이미 공약 과제를 발표했다. 경북도는 아직 공약 사업을 발표하지 않았다.
유력 대선 주자들은 특정 지역의 표심(票心)을 겨냥한 새로운 대형 공약들을 내놓고 있다. 이 과정에서 TK가 소홀한 대접을 받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홍준표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의 'TK신공항 건설 사업 국가재정사업화'가 눈에 띌 정도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지난 18일 '부산 공약'으로 해양수산부 이전, 해사전문법원 설립, 부산 중심의 북극 항로 개척 등을 제시했다. 해수부 이전은 부산시가 기대하지 못했던 공약이다. 반면 이 대표가 제시한 TK 공약은 신공항 지연(遲延) 요소 해소 등 기존 현안을 두루 열거한 수준이다.
대선 공약은 새 정부의 국정 과제로 이어진다. 이 기회를 놓치면 안 된다. TK의 현안을 해결하고 미래 먹거리를 창출하려면 역량(力量)을 총동원해야 한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국민의힘은 물론 민주당과도 소통 채널을 넓혀야 한다. 지역 국회의원들은 소속 정당의 후보 캠프에만 기웃거리지 말고, TK 현안의 대선 공약화에 최선을 다하라.
댓글 많은 뉴스
민주당 대선 후보 이재명 확정…TK 출신 6번째 대통령 되나
안철수 "한덕수는 출마 포기, 김문수·한동훈은 결단해야"
TK 향한 대형 신규 사업 나올까…李, 공약 살펴보니
'고향 까마귀' 이재명, TK민심 흔드나…민주, 25% 이상 득표 기대
'뇌물 혐의 기소' 문재인 "검찰권 남용…정해진 방향대로 밀고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