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의대생 유급 처분이 확정되는 30일 이전에 의대생들과 대화를 위해 만나자고 공식 제안했다.
김홍순 교육부 의대교육지원관(의대국장)은 28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브리핑에서 "교육부는 의대 학생회 대표 조직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에 30일 이전 간담회를 열 것을 제안했고 의대협은 오늘 중으로 답변을 주겠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간담회 시점과 관련해 김 국장은 "유급 확정 전에 만나는 게 문제 해결에 가장 좋은 타이밍이라 이달 30일 이전으로 요청했다"며 "의대협이 5월 초를 제안한다면 간담회 시점이 유급 처분 직후가 되면 학생들에게 오해 소지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어렵다"고 부연했다.
학사 유연화에 대해서 교육부는 가능성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김 국장은 "30일 이전에 학생들이 모두 수업에 복귀한다면 수업 결손 보완책이나 24·25학번 분리교육 등 논의할 사안이 많다"며 "학사 유연화가 또다시 거론될 확률은 하나도 없다. 0%"라고 잘라 말했다.
김 국장은 일부 의대에서 진행 중인 '수업 복귀 의향'을 묻는 설문조사와 관련해선 "대략 70%의 학생이 수업 복귀를 원하는데 강경파 의대협의 일괄적 입장 때문에 잘 드러나지 않은 것으로 안다"며 "다수 학생의 의견을 직접 확인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해 긴급하게 설문조사를 돌린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의대협이 '설문조사에 답할 때 전원 복귀에 동의하라'는 내용의 문자를 공지했다는 제보를 받았다"며 "그러나 의대협의 의도대로 '100% 동의' 결과가 나오지 않은 대학이 몇몇 있는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김 국장은 "현재로선 의대생 수업 참여율이 크게 오르지 않고 있다. 답보 상태인 게 맞다"면서 "지금의 복귀율로는 24·25학번 분리교육은 어려운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어 "24·25·26학번이 내년 1학년에 모두 겹칠 경우 대부분의 대학이 26학번에 수강신청 우선권을 주는 내용의 학칙 개정을 할 것"이라며 "4월 30일까지 수업에 복귀하지 않으면 그 책임과 부담은 24·25학번이 모두 지게 된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민주당 대선 후보 이재명 확정…TK 출신 6번째 대통령 되나
김재섭, 전장연 방지법 발의…"민주당도 동의해야"
이재명 "함께 사는 세상 만들 것"…이승만·박정희 등 묘역참배
文 "이재명, 큰 박수로 축하…김경수엔 위로 보낸다"
'국힘 지지층·무당층' 선택은? 김문수 29.2% 홍준표 21.4% 한동훈 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