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가 추진한 '경북도청 빛의 공원 조성 사업' 예산이 도의회 심사에서 전액 삭감됐다. 대형 산불로 무너진 지역 경제 회복이 절실한 시점에 야경 명소 조성 사업 필요성에 근본적인 의문이 제기되서다.
경북도는 올해 5월부터 12월까지 총 15억원을 들여 도청사 일대에 대규모 야간 경관조명을 설치하고, 포토존과 편의시설을 정비하는 '빛의 공원'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었다. 사업 시행은 대구경북디자인진흥원에 위탁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지난 25일 열린 경북도의회 임시회 기획경제위원회 심사 결과, 해당 예산은 전액 삭감됐다.
경북도의회 기획위는 "산불 피해로 지역민들이 고통을 겪고 있는 현실을 외면한 채, 관광객 유치를 명분으로 한 조명 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도민 정서에 반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일부 도의원들은 사업 구상 단계부터 조감도와 구체적 추진 계획이 부실하다는 점도 문제 삼았다. 기본 구상과 사업 구상 보고회만 마쳤을 뿐, 실질적인 준비가 부족해 완성도에 대한 신뢰를 얻지 못했다는 것이다.
또 산불 피해 지역 도의원들은 피해를 입은 곳에 관광산업을 도와야 하는 시점에서 경북도청을 꾸민다는 것은 민심을 저버린 행정이라고 비판했다.
이번 경북도의회 추가경정예산안 심사에서 전체 삭감액 18억5천만원 가운데 빛의 공원 사업 삭감액은 15억원으로 전체의 81%를 차지했다. 이는 경북도의 무리한 사업 추진이 예산 심사 과정에서 집중적으로 문제된 결과로 해석된다.
일각에서는 이번 사업이 신도시 활성화 명목으로 추진됐지만, 실상은 행사성 사업에 불과했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도청 신도시 내 상권 활성화나 인구 유입을 위해서는 단기적 볼거리 조성보다는 실질적인 기반 시설 투자와 일자리 창출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선희 기획경제위원장(국민의힘·청도)은 "추경은 산불 피해 복구를 넘어 지역 경제의 근본적 체질 개선을 위한 계기가 되어야 한다"며 "불요불급한 사업을 과감히 걸러내고, 긴급하고 실질적인 지원에 예산을 집중하는 것이 도민에 대한 도리"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에 대해 박시균 경북도 미래전략기획단장은 "산불 피해 주민을 위한 위로·추모 공간과 APEC 기념 공간도 계획에 있었다"며 "공원 조성 준비에는 최소 반년 이상이 걸리기 때문에 이번 추경을 신청한 것"이라고 답했다.
댓글 많은 뉴스
민주당 대선 후보 이재명 확정…TK 출신 6번째 대통령 되나
김재섭, 전장연 방지법 발의…"민주당도 동의해야"
이재명 "함께 사는 세상 만들 것"…이승만·박정희 등 묘역참배
안철수 "한덕수는 출마 포기, 김문수·한동훈은 결단해야"
'국힘 지지층·무당층' 선택은? 김문수 29.2% 홍준표 21.4% 한동훈 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