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유심(USIM) 해킹' 공격을 받아 최대 9.7GB 분량의 정보가 외부로 유출된 정황이 나왔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8일 SK텔레콤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18일 SK텔레콤 보안관제센터에서 비정상적 데이터 이동이 처음 감지됐다. SK텔레콤은 당시 총 9.7GB에 달하는 데이터가 외부로 전송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해킹 공격으로 유출된 데이터에는 ▷전화번호 ▷유심 인증키값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 ▷이동가입자식별번호(IMSI) 등 유심 관련 핵심 정보가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를 문서 파일로 환산하면 300쪽 분량의 책 9천권(약 270만 쪽)에 달한다.
SK텔레콤은 보안관제센터가 지난 18일 오후 6시 9분쯤 9.7GB의 자료가 전송되는 트래픽 이상을 처음 감지한 뒤, 이날 오후 11시 20분쯤 과금분석장비에서 악성코드를 발견했다.
이어 지난 19일 밤 11시 40분에는 홈가입자서버(HSS)에서 데이터 유출이 의심되는 정황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최 의원은 "국민 불안이 큰 만큼 SK텔레콤은 하루빨리 더 많은 양의 유심을 확보해 유심카드 택배운송 등 보다 적극적인 조치에 나서고, 번호이동을 원하는 고객에 대해서는 위약금 면제 등 실질적 피해 구제 대책을 즉각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사태와 관련해 국회 과방위는 오는 30일 국회 청문회에서 SK텔레콤을 상대로 이번 해킹 사고를 집중 점검할 예정이다.
한편, 해킹 사고 발생으로 SK텔레콤이 유심 무상 교체를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곳곳에서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고객들이 일선 대리점을 찾아 줄을 서서 기다리며 유심을 교체하고 있는데, 유심 보유 재고가 없어 상당수의 가입자들이 헛걸음하는 일이 잦은 상황이다.
SK텔레콤은 현재 약 100만개의 유심을 보유하고 있고 다음 달 말까지 약 500만개의 유심을 추가로 확보할 계획이지만, SK텔레콤 가입자 2천300만명과 이 회사 망을 사용하는 알뜰폰 가입자 187만명을 합해 교체 대상자가 모두 2천500만명에 달해 물량 부족에 따른 혼란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댓글 많은 뉴스
민주당 대선 후보 이재명 확정…TK 출신 6번째 대통령 되나
김재섭, 전장연 방지법 발의…"민주당도 동의해야"
이재명 "함께 사는 세상 만들 것"…이승만·박정희 등 묘역참배
文 "이재명, 큰 박수로 축하…김경수엔 위로 보낸다"
'국힘 지지층·무당층' 선택은? 김문수 29.2% 홍준표 21.4% 한동훈 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