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이 정부 전 부처를 비롯해 공공·산하기관을 대상으로 SKT 유심(USIM) 교체를 권고했다. SK텔레콤 서버 해킹 사태에 대한 대응으로 풀이된다.
29일 정부 부처에 따르면 국정원은 정부 전 부처에 공문을 보내 "최근 유심 정보 유출 사고 관련, SKT 유심을 사용하는 업무용 단말·기기를 대상으로 다음의 안전조치를 추진해 달라"고 요청했다.
국정원은 ▷무선 통신망 기반 영상신호 전송, 교통신호 제어용, 원격계측·검침 등에 활용되는 LTE(4G)·5G 라우터(공유기)의 유심 교체 ▷업무용 휴대폰·테블릿, 4G·5G 에그 등 모바일 단말기기의 유심 교체를 명시했다.
국정원은 더불어 "유심 교체 이전까지 업무용 단말·기기를 대상으로 '유심보호서비스' 부가 서비스에 가입하라"며 "법인 명의 다수 등록 기기의 경우 일괄 조치 방안을 강구하라"고도 했다.
그러면서 "소속·산하기관도 참고·조치할 수 있도록 해당 사항을 전파해달라"고도 덧붙였다.
앞서 삼성전자를 포함한 주요 대기업과 네이버, 카카오 등 정보기술(ITC) 기업들도 SKT 해킹 사태로 가입자 유심 정보가 탈취된 것으로 확인된 직후 직원들을 대상으로 유심 교체 등을 권고했다.
SKT는 통신 3사 가운데 가입자 1위 통신사다. 정부에서 사용하는 비화폰 역시 SKT 회선으로 알려져 있다.
29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인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번 해킹 공격으로 유출된 SKT의 정보가 최대 9.7GB 분량이라고 밝히며 SKT를 향해 "하루빨리 더 많은 양의 유심을 확보해 택배 운송 등 보다 적극적인 조치에 나서고 번호이동을 원하는 고객에 대해서는 위약금 면제 등 실질적 피해 구제 대책을 즉각 시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과방위 소속 더불어민주당·조국혁신당 의원들도 28일 성명을 내고 "SKT은 각 가정에 유심 카드를 직접 택배로 신속히 발송하고 방문이 어려운 고객도 빠짐없이 교체 받을 수 있도록 '찾아가는 교체·택배 교체' 체계를 즉각 가동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번호 이동을 희망하는 피해자가 폭증하고 있지만, 위약금 부담 때문에 이동을 포기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며 "SKT은 모든 가입자에게 위약금 없는 자유로운 번호 이동을 즉각 허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민주당 대선 후보 이재명 확정…TK 출신 6번째 대통령 되나
김재섭, 전장연 방지법 발의…"민주당도 동의해야"
이재명 "함께 사는 세상 만들 것"…이승만·박정희 등 묘역참배
文 "이재명, 큰 박수로 축하…김경수엔 위로 보낸다"
'국힘 지지층·무당층' 선택은? 김문수 29.2% 홍준표 21.4% 한동훈 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