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원·달러 환율 상승이 국내 소비자물가를 0.47%포인트(p) 끌어올렸다는 국책 연구기관의 분석이 나왔다. 다만 환율이 1,500원까지 오르더라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물가안정목표(2%)를 훌쩍 넘길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이 제시됐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9일 '최근의 환율 변동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발표했다. KDI는 보고서에서 환율 상승 요인을 ▷미 달러화 강세 ▷국내 요인(정치 불안, 대외신인도 하락 등)으로 구분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따로 분석했다.
분석에 따르면 달러화 강세로 환율이 1%p 상승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해당 분기에 0.04%p, 1년 누적 0.07%p 오른다. 반면 국내 요인으로 환율이 1%p 상승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동 분기 0.04%p, 1년 누적으로 0.13%p 상승해 파급력이 약 두 배에 달했다.
김준형 KDI 연구위원은 "달러화 요인에 따른 환율 상승은 수입품의 달러 가격 조정으로 영향이 점차 축소될 수 있지만, 국내 요인에 따른 환율 상승은 교역국 통화 대비 원화 가치 전반을 떨어뜨려 장기적이고 광범위한 물가 상승 압력을 유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또 올해 1분기 환율 변동이 소비자물가를 0.47%p 끌어올린 것으로 분석했다. 이는 국내 요인이 유지되는 가운데 달러화 강세 영향이 확대된 결과라는 분석이다.
KDI는 또 환율이 현재 수준(1분기 평균 1,452.7원)을 유지할 경우 3분기까지 물가 영향이 이어지다 4분기부터 완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원·달러 환율이 1,500원까지 오르면 1분기 대비 최대 0.24%p 추가 상승, 환율이 1,400원으로 하락하면 0.44%p 물가가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김 연구위원은 "현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1% 수준이며 수요 압력이 낮다는 점을 고려하면 환율이 1,500원 부근까지 상승해도 물가상승률이 물가안정목표를 크게 넘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환율 상승이 장기화하거나 국내 요인에 따른 환율 변동이 확대될 경우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질 수 있으므로 환율 추이와 원인별 영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칼럼-조두진] 선거에 지면 찌그러지는 것
안철수 "국민통합, AI 강국으로 안철수 신드롬 만들것"
한덕수 이번주 중 '출사표' 유력, 반명 빅텐트 중심축 될까
이재명 42% vs. 범보수 41% "한덕수·국힘 승산 있다" [뉴스캐비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