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북동부 지역을 휩쓴 대형 산불 발생 한 달이 지나면서 피해 주민들이 주거 안정과 피해 보상금 등 현실성 있는 대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피해 주민들은 산불 발생 이전의 삶으로 되돌아 갈 수 있을 정도의 지원을 요구하면서 ▷정부 재난지원 대폭 확대 ▷재난지원금 100% 피해주민에게 지급 ▷피해보상에 빠진 창고·무허가 주택·임야 포함한 재조사 ▷주거 안정 대책 강구 등을 호소하고 있다.
하지만 일상 회복을 위해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하고 있는 각종 피해 대책과 관련해 사실과 맞지 않는 내용으로 지자체와 단체장에 대한 과도한 비난을 우려하는 시각도 만만찮다.
◆"재난지원금 선별 지원을"
29일 안동시청 앞에서 '안동시 산불피해 주민대책협의회' 주관으로 열린 집회에서는 안동을 비롯해 청송·영양·영덕 지역의 산불 피해 대책위원회 관계자들이 참여해 재난지원금 형평성 문제와 임시주택 대책 미흡을 집중 지적했다.
주민들은 먼저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된 경북 5개 시·군 주민에게 일괄 지원된 810억원 규모의 재난지원금이 실제 산불 피해자들에게 지급되지 않은 점을 강하게 문제 삼았다.
안동산불 대책협의회는 "경북도가 810억여원의 재난지원금을 산불 피해 주민들에게 선별 지원했다면, 1인당 2천여만원을 받을 수 있다"며 "피해가 없는 주민까지 일괄 지원한 결과, 정작 삶의 터전을 잃은 우리는 턱없이 부족한 금액을 받았다"고 토로했다.
피해 주민들은 임시 주택의 소유권 이전도 요구했다. 이들은 이동주택을 임대하지 말고 소유권 이양을 통해 피해주민들이 원하는 위치에 설치해 줄 것을 요구했다.
청송군의 한 이재민은 "비를 피하는 정도의 주거지에서 하루하루를 버티고 있다"며 "정부가 소유권을 넘겨주거나 최소한 장기 안정 거주를 보장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임시주택 소유권 이전
집회 현장에서는 격앙된 감정도 곳곳에서 드러났다. 일부 주민들은 심한 욕설과 비판을 쏟아내며 산불 지원 대책을 강하게 비판했다.
특히 주민들은 지역을 떠나 모두가 같은 산불 피해자의 심정으로 하나가 돼 정부에 대한 대응을 요구했다.
이날 집회에는 김남수 영양군 산불대책위원장, 김진덕 영덕군 산불대책위원장, 신왕준 청송군 대책위원장 등도 참여해 자신의 피해 상황을 언급하면서 "특별법에서 한도 없이 보상이 현실화 될때까지 싸워야 한다"며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따라 정부는 피해 주민들의 일상을 반드시 회복시켜야 한다"고 촉구했다.
피해 주민들은 앞으로도 추가 집회와 공청회를 통해 지속적으로 정부에 산불 피해 보상 한도 상승과 임시주택 피해지 설치 및 소유권 이전 등을 강하게 주장할 계획이다.
하지만 일부 주민들은 "지역 피해 대책협의회가 일상회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지자체나 단체장을 비난의 대상으로 삼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국가 재난 상황이다. 지자체와 힘을 모아 한 목소리로 정부와 국회, 정치권에 특별법 제정, 재난지원 현실화 등을 요구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안동시는 '이동주택 소유권 이양'과 관련해 "임시주거시설은 임대료를 받지 않고 무상 공급하고 있다. 타 지역에서 일정 기간이 지나 불하한 사례가 있지만 추후 충분히 논의해 이재민들이 불편 없도록 할 것"이라 밝혔다.
한편, 이에 앞서 지난 22일 산불피해를 입은 영양·청송·영덕지역 대책위원회가 청송에서 집회를 가졌다. 29일에는 안동 산불피해 대책협의회 집회와 별도로 경북도청 앞에서 경북 농업인단체협의회가 집회를 열고 특별법 조속 제정 등을 촉구했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칼럼-조두진] 선거에 지면 찌그러지는 것
안철수 "국민통합, AI 강국으로 안철수 신드롬 만들것"
한덕수 이번주 중 '출사표' 유력, 반명 빅텐트 중심축 될까
이재명 42% vs. 범보수 41% "한덕수·국힘 승산 있다" [뉴스캐비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