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이베리아반도의 일상이 깨졌다. 28일(현지시간) 낮 발생한 갑작스러운 대정전 사태 탓이다.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일시적 무법지대로 변했다. 대정전에 신호등이 꺼졌고, 기차와 지하철 등 대중교통은 멈춰 섰다. 당연한 것들이 먹통이 되면서 전화, 인터넷도 사용할 수 없었다. 문명의 이기라던 결제 시스템도 작동하지 않았다. 석기시대로 돌아간 것이다. 스페인 정부는 국가 비상사태까지 선포했다.
스페인 최대 일간지 엘 파이스(El País) 등에 따르면 대정전은 스페인 기준 28일 낮 12시 30분(포르투갈 기준 오전 11시 30분)쯤 발생했다. 사상 최악의 정전에 나라 전체가 마비되다시피 했다. 마드리드와 바르셀로나, 리스본과 포르투 등 주요 도시들이 대혼돈에 빠졌다. 교차로를 지나는 건 보행자와 차량 모두에게 모험이 됐다. 엘 파이스는 "도로 위는 먼저 속도를 내는 사람이 이기는 무법지대로 변했다"고도 전했다.
결제 시스템 작동 불능도 불편을 키웠다. 구글페이 등 모바일 결제 시스템의 이른 정착만큼 정전의 불편은 컸다. 현금만 결제할 수 있다는 알림이 잇따라 내걸렸다. 현금지급기 앞에서는 긴 줄이 늘어서는 등 때아닌 현금 확보 전쟁도 벌어졌다.
대정전은 28일 저녁까지 이어졌다. 정전 발생 6시간 뒤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는 "전력망의 절반가량에 대한 복구를 완료했다"며 "전력 체계상 심각한 기술적 변동으로 인해 정전이 발생했다"고 TV 연설에서 밝혔다. 포르투갈도 이날 늦은 밤부터 리스본과 포르투의 일부 지역에서 전력 공급이 재개된 것으로 전해졌다. 포르투갈은 스페인에 전력 공급을 의존하고 있던 터다. 스페인 국영 전력기업 '레드 일렉트리까'에 따르면 29일 오전 6시에야 전력 수요의 99%가 회복됐다.
대정전의 원인은 아직 규명되지 않았다. 스페인 정부를 비롯한 에너지 당국은 대정전 원인을 조사 중이며 어떤 요인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국민적 불안감은 여전하다. 사이버 테러, 러시아의 공격 등 근거가 희박한 뜬소문이 나돌면서 민심이 흉흉해진 탓이다. 더구나 우리나라 면적의 6배 크기인 이베리아반도 전체에 동시 정전이 발생한 경우는 유례를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댓글 많은 뉴스
민주당 대선 후보 이재명 확정…TK 출신 6번째 대통령 되나
김재섭, 전장연 방지법 발의…"민주당도 동의해야"
文 "이재명, 큰 박수로 축하…김경수엔 위로 보낸다"
이재명 "함께 사는 세상 만들 것"…이승만·박정희 등 묘역참배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