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대선 최종 경선에서 김문수, 한동훈 후보가 마지막 진검승부를 펼치게 되면서 보수 표심이 어디로 향할지 이목이 집중된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소추를 놓고 반대파였던 김 후보와 찬성파였던 한 후보의 양자대결이 이뤄지면서 표심이 당의 쇄신과 변화를 주도할 후보에게로 향할지, 반명(반이재명) 빅텐트 구성에 유리한 후보에게로 향할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29일 국민의힘 선거관리위원회가 발표한 대선 최종 경선 진출자는 김문수, 한동훈 후보로 반탄(탄핵 반대)파 찬탄(탄핵 찬성)파 2명이 팽팽히 맞붙은 4강 구도를 고려해 봤을 때 보수 지지층의 표심은 탄핵 찬반에 따라 갈라진 것으로 보인다.
결선에서는 '반탄파'와 '찬탄파' 간 입장차가 더 극명하게 드러나면서 막바지 세 결집도 강하게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이재명 불가론'을 앞세워 당심을 공략하는 동시에 각각 '배신자 프레임', '쇄신' 이미지를 앞세워 대치 전선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 후보 측은 당 비상대책위원장과 대표 시절 당정 갈등을 빚고 윤 전 대통령 탄핵을 주도했던 한 후보를 '배신자'로 가두는 전략으로 당심을 결집해 압도적 우위를 점할 것으로 보인다. 한 후보 측은 비상계엄 당시 고용노동부 장관이었던 김 후보가 대선 후보가 되면 '과거에 머무른다'는 '쇄신 대 구태' 구도로 당심 구애에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 단일화를 두고 미묘한 입장 차이를 보이는 두 후보의 태도도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두 후보 모두 단일화 가능성은 열어뒀지만 한 후보에 비해 김 후보는 단일화에 적극 입장을 내비치고 있다.
김 후보는 잡음 없는 단일화를 연일 강조하며 이낙연 전 국무총리 등이 참여하는 '반명 빅텐트' 구상에 호응하는 중이다. 반면 한 후보는 당원들의 기류를 파악한 뒤 단일화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이지만 계엄 당시 국무총리였던 한 대행과의 단일화 협상은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민주당 대선 후보 이재명 확정…TK 출신 6번째 대통령 되나
김재섭, 전장연 방지법 발의…"민주당도 동의해야"
이재명 "함께 사는 세상 만들 것"…이승만·박정희 등 묘역참배
文 "이재명, 큰 박수로 축하…김경수엔 위로 보낸다"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